학술논문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의 R&E(Research & Education) 현황 분석 및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이용수 26
-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and Education(R&E)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c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Program Experience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희(Yeon Hee Ki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1호, 75~10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3.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에서의 R&E 현황 분석 및 R&E 프로그램 경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국 27개교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 소속 학생 569명을 대상으로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현황과 관련하여 반개방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은 R&E 참여동기,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으며, 새로운 연구 방법이나 기술 배움에 가장 큰 의의를 두었다. 학생들이 가장 어렵다고 인식하는 R&E 프로그램 단계는 53.1%가 연구 주제 선정 단계라고 응답하였다. 그다음은 실험 설계 및 수행단계로 22.7%의 학생이 연구방법과 실험기자재의 사용법을 익히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R&E 팀 구성은 학생 스스로 구성하는 빈도가 가장 높으며, 연구 기간 적절성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학교별 R&E에 대한 유의한 인식차는 없으나, R&E 유형별, 학년 간 인식차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5). 본 연구는 R&E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R&E 연구를 지도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R&E programs in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cs in Korea, along with student perceptions based on their experiences. A semi-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569 students from 27 science high schools and science academics nationwide. The survey focused on the students' awareness and the current situation regarding R&E program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clearly recognized the motivations for and importance of participating in R&E, emphasizing the value of learning new research methods and technological skills. The most challenging stage of the R&E program, as perceived by the students, was the research topic selection stage, with 53.1% expressing difficulty. Following this, 22.7% reported challenges in the experiment design and execution stage, particularly in learning the methods and usage of research tools and equipment.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most frequently formed the R&E team themselves, an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appropriateness of the research perio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R&E by school,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by R&E type and grade(p<.05).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opos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erception survey of R&E programs.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guiding and enhancing R&E research capabilities amo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