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막고굴 서위 제285굴의 사상 및 기능 재검토

이용수 67

영문명
Re-exploring the Ideology and Function of Cave 285 of the Western Wei Dynasty in Mogao Grottoes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沙武田(Sha, Wutian)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제79집, 163~273쪽, 전체 11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16,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서위 대통(大统) 4년에서 5년 사이에 조성된 막고굴 제285굴은 중국미술사에 있어 이정표가 되는 석굴이자, 돈황석굴 가운데 가장 세인의 관심을 끄는 석굴이지만, 동시에 미술사적 의혹이 가장 많이 제기되는 동굴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석굴 천정(窟顶)을 장식한 천(天) 도상을 재해석하고, 이에 기반하여 제285굴 천정 도상이 한진(漢晉) 시대 이래 세속의 묘장(墓葬)에서 출현한 승천성선(升天成仙) 사상의 천(天) 도상과 상당 부분 유사성 및 일치성을 보인다는 점을 발견했다. 복두형(覆斗型) 천정 가장자리 하단에는 선정에 든 인물들이 4면 벽을 둘러싼 채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데, 이 인물들의 정체에 대해 기존의 학설은 산중에서 수행하는“선정비구(禅定比丘)”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의 분석에 따르면 이들은 모두 신통(神通)을 갖춘 채 이미 천상(天上)에 오른 신승(神僧) 또는 성승(神僧)이다. 즉 천상의 인물들이지 통상적으로 말하는 현세(现世)의 “선정비구”가 아니라는 점이다. 이 인물들은 모두 어깨에서 화염이 치솟는 도상 특징을 보이는데, 이것은 직접적으로 동시기에 생사관념과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며 유행했던 동왕공, 서왕모라는 중국전통의 신선 형상의 영향을 받은 것이며, 동시에 남북조 시기에 성선사상을 배경으로 성행했던 고사도(高士圖)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와 같은 논지로 기존 견해가 부정된다면, 제285굴이 선정굴[禅窟]이라는 주장의 핵심 증거가 근본적으로 흔들리게 된다. 또한 천상에 났으면서도 여전히 선정 수행하는 비구 형상을 보이고, 동시에 신이(神异)와 신통성을 구비한 이 인물들은 석굴 조성에 참여한 공양인, 공덕주, 불교단체 및 일반신도들의 집합체와 관련된 승려가 입적한 이후의 모습으로 보아야 한다. 이들은 이미 천상에 왕생하고, 불국토에 신생(神生)한 것이며 동시에 신이(神异) 능력과 신통성을 구비하였다. 만약 여기에 다시 남북벽에 설치된 여덟 개의 작은 석실 공간이 전통적인 견해대로 선정을 위한 공간이 아니라는 점, 그리고 석굴 내부의 공양인 화상(画像)에서 보이는 특징을 연결하여 고찰한다면, 애당초 제285굴의 설계 및 조성 목적이 선정굴이 아닌 승려 집단의 매장[瘗埋]을 위한 것이라는 결론이 도출되며, 심지어 제285굴이 세속 신도들의 매장을 위한 독특한 공간일 가능성도 제기된다. 제285굴 천정의 벽화 중에 이처럼 한진(漢晉) 이래의 전통적인 승천성선 색채가 농후한 도상이 출현하고, 위진남북조 시대 묘장에서 사용되었던 도상들이 과감하게 차용된 것은, 그 사회역사적 배경에 있어 당시 불교와 중국인의 전통적 상장(丧葬) 관념 간에 다방면의 상호 융합이 있었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Cave 285 in Mogao Grottoes, which was excavated in the Datong fourth and fifth years of the Western Wei Dynasty, is a landmark cave in the history of art, and the most attractive cave in the Dunhuang Grottoes, but it is also the cave with the most historical questions. This article starting from the reinterpretation of the Tian images on the ceiling of the cave, this paper finds that the images on the ceiling of Cave 285 have great similarity and consistency with the Tian images expressing the idea of ascension to immortality that have appeared in secular tombs since the Han and Jin dynasties. The figures that appear in a circle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which are originally designated as “meditating bhiksu” religious practicing in the mountains, are in fact celestial figures with divine powers, divine monks or saintly monks who have already arrived in the heaven, figures who have already arrived in the heaven, and are not “meditating bhiksu” in the ordinary sense of the word. The flame shoulder features of these figures were also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Chinese images of West Queen and East Duke closely associated with life and death in the same period, as well as possibly by the image of Gaoshi containing the idea of becoming immortal, which were quite popular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Denying this also fundamentally shakes the core evidence for Cave 285 as a Zen cave. At the same time, these bhikkhu-shaped figures who still appear in the form of meditation and religious practice in the heavenly realm, but also have supernatural capabilities and powers, are the monks who belong to the group of donors, merit masters, Buddhists, and ordinary believers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aves after they have passed away, they belonged to the heaven and the kingdom of the Buddha, and they also possessed supernatural capabilities and powers. Combined with the donors portraits and the spatial settings of the eight small chambers on the north and south walls of the cave, we highly suspect that Cave 285 was originally excavated for the collective burial of monks, and possibly as a unique space for the burial of ordinary believers. The reason why the ceiling of Cave 285 has such a strong Han and Jin Dynasty traditional images of ascension to heaven and immortality, or to the Wei, Jin, and Northern and Southern Dynasty burial images for the bold borrowing and use, that is Buddhism in this period and the Chinese traditional concept of funerals in a number of aspects of the integration of each other as known as its socio-historical background.

목차

Ⅰ. 머리말
Ⅱ. 제285굴 천장의 天界 공간
Ⅲ. 285굴의 공간적 성격
Ⅳ. 8개 소감의 기능
Ⅴ. 북조시기 전통 喪葬과 불교석굴 융합의 배경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沙武田(Sha, Wutian). (2024).막고굴 서위 제285굴의 사상 및 기능 재검토. 백제연구, (), 163-273

MLA

沙武田(Sha, Wutian). "막고굴 서위 제285굴의 사상 및 기능 재검토." 백제연구, (2024): 163-2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