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백제 벽주건물의 구조적 특징과 고고학적 해석

이용수 159

영문명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f Baekje Pillar-Wall Building
발행기관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저자명
강소희(Kang, Sohee)
간행물 정보
『백제연구』제79집, 127~16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벽주건물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건물의 용어 사용과 구조적인 특징을 통해 용어 사용의 적합성과 백제 벽주건물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파악하였다. 일본에서는 벽구가 전체 돌아가는 지상건물에만‘대벽건물’용어를 사용하는 반면, 한국에서는 벽구 유무와 관련 없이 주공(목주)이 조밀하게 열 지어 배치된 지상건물에‘벽주건물’용어를 사용한다. 이에 대해 특정 용어를 부여해야 하는지에 대한 의문과 용어가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벽주(대벽)건물은 특정 시기, 한정된 공간에서 확인되고 있어 당시 문화상을 보여주는 주요 건물로 특정 용어의 부여는 필요하다. 일반적인 벽주건물의 중심개념은‘벽체’와 이를 구성하는‘기둥’으로‘벽주건물’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없다고 생각한다. 백제 벽주건물은 2단계 변화 과정을 보인다. 1단계는 웅진기~6세기 중반까지로 공주·부여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지정학적 입지상 상대적으로 우월한 곳에 건물군을 이루고 있어 공적인 건축공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2단계는 6세기 후반~백제 멸망까지로 공주·부여·익산지역에서 주로 확인된다. 국가에 의해 상초건물의 조성이 활발해지면서 벽주건물 위계는 이전보다 낮아졌으며, 사비도성 저지대 일대가 개발되면서 벽주건물 사용이 보편화되었고 기능에 따라 공적·사적인 건물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벽주건물 출현은 실 분화에서 채 분화로의 변화를 불러오면서 건물군(원락)이 등장하게 되고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공간 배치가 반영되기 시작하였다. 이후 사비도성이 본격적으로 개발되면서 민리의 주건물로 조성되었다. 이는 내부에 기둥이 없는 경사지붕의 단실 건물이라는 구조적인 특성상 건물 확장에 제한이 있어 규모 규제에 적합했기 때문에 사비도성의 보편적인 건물이 된 것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understood the suitability of terms and the meaning of Baekje's Pillar-wall building through the use of term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buildings where various discussions are being held about Pillar-wall(Big-wall) building. In Japan, ground buildings where the grooves rotate as a whole are called ‘Big-Wall Building(大壁建物)’. On the other hand, in Korea, above-ground buildings with pillar holes arranged in rows are called ‘Pillar-Wall Building(壁柱建物)’. Recently, questions have been raised about whether certain terms should be given to buildings. This building was identified in a limited space at a particular time and is an important building that shows the cultural image of the time. Therefore, the assignment of specific terms is necessary. The central concept of Pillar-wall building is ‘wall structure’ and ‘pillar’, so it is not unreasonable to use the term ‘Pillar-Wall Building’. The Pillar-wall building in Baekje exhibit a two-stage process of change. The first stage is from the Woongjin period to the mid-6th century, and it is distributed in Gongju and Buyeo. It forms a building groups and was created as a public architectural space. The second stage is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fall of Baekje, which can be seen in Gongju, Buyeo and Iksan. As Inner base-foundation stone building(磉礎建物) construction became more active, the building's hierarchy became lower than before. And as the low-lying area of Sabi capital city was developed, the use of buildings became common. The appearance of Pillar-wall building brought about a change from room differentiation to building differentiation. This led to the appearance of building groups and systematic spatial arrangement. Later, Sabi capital city was developed and built as the main building of In the case of the commoners’ residential district(民里). This was due to the structural nature of the building, which limited its expansion and was suitable for scale regul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벽주(대벽)건물 용어 사용과 정의
Ⅲ. 벽주건물의 구조적 특징
Ⅳ. 백제 벽주건물의 고고학적 해석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소희(Kang, Sohee). (2024).백제 벽주건물의 구조적 특징과 고고학적 해석. 백제연구, (), 127-161

MLA

강소희(Kang, Sohee). "백제 벽주건물의 구조적 특징과 고고학적 해석." 백제연구, (2024): 127-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