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eachers’ Views of L1 Use in English Speaking Classe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Teachers in Korea

이용수 16

영문명
Teachers’ Views of L1 Use in English Speaking Classe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Teachers in Korea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존 프랜지스(Franzese, John) 조영상(Youngsang Cho)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1호, 235~256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어 교수자들이 학생들의 모국어(L1)를 영어 발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으며 그 이유와 목적이 무엇인지를교수자의 시각에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한 대학에서 영어 말하기 수업을 진행하고 있는 교수자들을 대상으로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선다형과 개방형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에 원어민 교수자 5명과 내국인 교수자 8명을포함한 총 13명이 응답하였고, 이들 중 4명이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선다형 문항 답변은 기술적 통계를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개방형 문항 및 인터뷰 답변은 질적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교수자들은영어 말하기 수업의 정체성과 교수 신념에 입각하여 영어 수업을 영어매개강의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수업 목표, 교실 환경, 학생들의 영어 능력, 공통 언어, 요구 등의 다양한 이유로 한국어 사용을 일부 허용하였다. 교수자들은 자신의 한국어 사용보다는학생들의 한국어 사용에 더 적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며, 본인의 한국어 사용과 학생의 한국어 사용을 각각 다른 목적으로이용하였다. 또한 원어민 교수자와 내국인 교수자 간에 한국어 사용에 있어 차이를 보였는데, 한 예로 원어민 교수자는주로 사회적(social) 목적으로 내국인 교수자는 주로 관리적인(managerial) 목적으로 한국어를 활용하였다. 또한 원어민 교수자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학생들의 한국어 사용을 허용하였으나 한국인 교수자는 주로 정서적(affective) 및 사회적(social) 목적에 제한을 두었다. 공통적으로는 두 그룹 모두 학생들의 한국어 사용을 영어 학습 목적으로 사용하지는 않았다. 이러한결과를 바탕으로 영어 교육 관련 교수자, 정책 담당자 및 연구자들을 위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the views of university English teachers in Korea teaching English speaking classes to develop a greater understanding of how L1 is used and for what reasons and purposes in the classroom. The primary means of data collection included a survey with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pen-ended questions, as well as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rteen teachers, five native English-speaking teachers (NESTs) and eight Korean English teachers (KETs) responded to the survey, among whom four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r qualitative methods, depending on their types. Findings revealed that teachers attempted to use English as the primary medium of instruction, adhering to class identity and their teaching beliefs. However, the majority also found themselves allowing for the use of Korean to some extent for reasons such as the students’ low English proficiency, course goals, the tense environment, common L1 among students, and the students’ demand, although some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way that Korean was used between NESTs and KETs. Teachers also showed more leniency towards the students’ Korean use as opposed to their own use of it and employed Korean for different purposes in each case. Discrepancies were found between NESTs and KETs in their purposes. For instance, NESTs focused their use of Korean on social purposes while KETs focused on managerial purposes. NESTs permitted students to use Korean for various purposes, whereas KETs focused mainly on affective and social purposes. However, both groups seldom considered the students’ use of Korean for linguistic purposes. Further discussions on implications for teachers, education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are provided.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s
4. Results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존 프랜지스(Franzese, John),조영상(Youngsang Cho). (2024).Teachers’ Views of L1 Use in English Speaking Classe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Teachers in Korea. 교양교육연구, 18 (1), 235-256

MLA

존 프랜지스(Franzese, John),조영상(Youngsang Cho). "Teachers’ Views of L1 Use in English Speaking Classes : A Case Study of University Teachers in Korea." 교양교육연구, 18.1(2024): 235-2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