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이용수 193
- 영문명
- Cultural Tourism Content Factors in Cultural Cities through Text Mining: Focusing on Seogwipo City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정헌규(Heonkyu Jeong)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1호, 141~15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문화도시에 있어서 문화관광 콘텐츠에 대한 요인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문화도시와 문화관광의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본 연구는 ‘서귀포문화도시’를 검색어로 설정하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소셜미디어 분석에는 TF-IDF(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분석과 중심성 분석(Centrality Analysis), 구조적 등위성 분석(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그리고 LDA 토픽 모델링(LDA Topic Modeling)이 활용되었다.
결과: 분석 결과,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통하여 노지문화, 책방데이와 같은 문화 군집 키워드와 여행, 관광, 코스, 공간과 같은 관광 군집 키워드의 구분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LDA토픽모델링을 통하여 ‘책방문화 콘텐츠’, ‘서귀포문화도시 예술 축제’와 같은 문화관광과 관련된 주제가 분류되어 이를 통하여 문화관광 콘텐츠가 도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관광 콘텐츠의 도출은 문화도시 조성 이후에 사후적으로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을 탐색하는 방식으로서 문화도시 추진 단계에서부터 관광지화를 고려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이러한 문화관광 콘텐츠의 사후적인 탐색은 문화도시를 바탕으로 문화관광에 대한 주제를 도출해 내는 것으로서 문화도시의 지역 문화 생태계 구축과 문화관광이 공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접근은 도시의 관광지화에서 비롯되는 여러가지 사회문제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cultural tourism content in cultural cities an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ral cities and cultural tourism.
Methods: This study conducted text mining on social media big data using 'Seogwipo Cultural City' as a search term. TF-IDF (Term Frequency - Inverse Document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and LDA Topic Modelling were used to analyze the social media data.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culture cluster keywords such as ‘noji culture’ and ‘bookstore day’ through Structural Equivalence Analysis and tourism cluster keywords such as ‘travel’, ‘tourism’, ‘course’, and ‘space’. In addition, through topic modelling, topics related to cultural tourism such as 'bookstore culture contents' and 'Seogwipo Cultural City Art Festival' were classified, and cultural tourism contents were derived.
Conclusion: The derivation of cultural tourism content through text mining was a method of exploring cultural tourism content factors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cultural city,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method of considering tourism from the stage of promoting a cultural city. This reactive exploration of cultural tourism content, which derived themes for cultural tourism based on cultural cities, could suggest the possibility of coexistence of cultural tourism with the establishment of local cultural ecosystems in cultural cities. In addition, this approach was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dispel concerns about various social problems arising from the touristification of cit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 방법
4. 분석 결과
5.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자의 무장애 관광으로서 숲길 방문빈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 탐색
- ‘미치노에키(道の駅)’의 지역 내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 관광콘텐츠의 특성이 대리만족, 관광태도,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마파크 도입에 따른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제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1호 목차
- TV뉴스 정보특성이 관광동기,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계절형축제의 위험지각이 축제활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도시관광 개발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1호 목차
- 제주도 선주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관광자 대상 이주 사업가와의 갈등요인 탐색 - 통합위협이론 관점에서
- 신혼여행경험이 결혼 만족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신혼여행 기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