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치노에키(道の駅)’의 지역 내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28
- 영문명
- Exploratory Study on the Local Role of 'Michi-no-Eki (Roadside Stations)’: A Comparison of Highway Rest Facilities in Korea and Japan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이정우(Jung Woo Lee)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1호, 83~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자는 30년 동안 1,209개의 미치노에키가 운영되고 있다는 점에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일본 큐슈 일대 6개 미치노에키에 현지조사를 진행했다. 실제 해당 지역에서 미치노에키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관광 및 지역활성화 플랫폼의 한 범주로, 미치노에키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본 연구자는 한국의 고속도로 휴게시설과 일본의 고속도로 휴게시설이 미치노에키와 큰 차이를 가지고 있음을 밝히기 위해 일본 미치노에키 자료를 포함한 현지조사와 관계자, 기획자, 관광객 인터뷰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한국과 일본의 고속도로 휴게소와 미치노에키의 차이점을 확인하였다. 미치노에키는 지역의 특산물이나 관광 자원을 활용해 교류 인구를 늘려, 지방 창생의 거점으로 역할을 하고 있으며 관광객과 지역주민들 모두를 충족시키는 관광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즉, 미치노에키는 교통시설을 위한 휴게소의 기능이라는 인식보다, 지역 활성화나 관광의 거점으로 인식되어 활용되는 것으로 지역 사회에 높은 기여를 하는 시설이다.
결론: 미치노에키 방문은 관광객에겐 지역특산품을 구매하거나, 관광정보를 얻는 등 다양한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지고, 지역주민들에게는 공공정보나 지역거점시설의 역할을 하고 있다. 미치노에키는 관광객과 지역주민들 모두를 충족시키는 관광으로 지속 가능한 관광의 형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플랫폼은 개방형 고속도로 휴게소가 가져가야 할 궁극적인 목표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researcher, with academic interest in the operation of 1,209 Michi-no-Eki facilities over 30 years, conducted an investigation into six Michi-no-Eki locations in the Kyushu region of Japan. The study focused extensively on exploring the actual role of Michi-no-Eki in the local context.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aims to examine the potential of Michi-no-Eki as a category within the realm of local tourism and regional revitalization platforms.
Method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highway rest areas in South Korea and Japan's Michi-no-eki by conducting on-site surveys, including data on Japanese Michi-no-eki, and interviewing stakeholders, planners, and tourists.
Results: The differences between highway rest areas in South Korea and Japan's Michi-no-eki were identified. Michi-no-eki serves as a hub for local creation by utilizing local specialties and tourism resources to increase interaction among populations, fulfilling the role of tourism that satisfies both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Michi-no-eki is perceived and utilized as a hub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tourism, rather than merely as rest stops for transportation facilities, making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local communities.
Conclusion: Visiting Michi-no-eki leads tourists to engage in various services such as purchasing local specialties or obtaining tourism information, while serving local residents in providing public information and acting as local hub facilities. Michi-no-eki can be viewed as a form of sustainable tourism that satisfies both tourists and local residents. Such a platform would ultimately become the ultimate goal that open-style highway rest areas should aim for.
목차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선행연구 검토
4. 고속도로 휴게시설과 미치노에키 비교 분석
5.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자의 무장애 관광으로서 숲길 방문빈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 탐색
- ‘미치노에키(道の駅)’의 지역 내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 관광콘텐츠의 특성이 대리만족, 관광태도,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마파크 도입에 따른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제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1호 목차
- TV뉴스 정보특성이 관광동기,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계절형축제의 위험지각이 축제활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도시관광 개발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1호 목차
- 제주도 선주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관광자 대상 이주 사업가와의 갈등요인 탐색 - 통합위협이론 관점에서
- 신혼여행경험이 결혼 만족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신혼여행 기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