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테마파크 도입에 따른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제언
이용수 164
- 영문명
- Proposal for Revitalization of Local Marketplaces and Urban Regeneration Policies by Implemeting The Theme Parks: Based on The Theme Park City Case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김동범(Dong Bum Kim) 문준호(Joonho Moon) 지윤호(Yunho Ji)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1호, 127~1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지역상권 활성화와 지역도시재생의 관점에서 테마파크 관광도시 조성에 필요한 정책방향과 관광자원 활용 및 관광개발에 필요한 거버넌스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춘천 레고랜드가 도입됨에 따른 지역의 상권 및 원도심 도시재생과 관련된 전략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방법: 국내외 테마파크가 조성되는 국내외 유명 관광지 사례를 조사하고, 춘천 레고랜드 도입에 따른 춘천시의 지역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에 관련한 정책적 이슈를 탐색한다. 테마파크 도시 사례의 선정기준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지역이 가지는 환경 및 공간의 접근성, 상권 및 원도심과의 지리적 상호작용, 관광연계 수준 및 편리성, 안정성, 기능성을 충족하는 국내·외 도시를 선정하였다. 또한 테마파크가 가지는 테마성, 비일상성, 심미성, 종합성 등의 요소를 가지는 대표적인 테마파크를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국내·외 유명 테마파크 도시 사례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5가지 정책이슈가 제시됐다. 제시된 정책적 이슈는 지역 거버넌스 체계 구축, 지방 원도심 활성화 전략, 지역 상권 특화 전략, 도시 재생 순환체계 확립, 상권과 연계한 도시재생 추진 등이다.
결론: 춘천시의 레고랜드 도입에 따른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함의를 위한 정책적 이슈를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5가지 청책 이슈는 테마파크를 소재로 한 연구로 지역관광 활성화와 도시재생, 지역관광정책 창출에 기여하는 데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policy direction required for establishing a theme park city and the governance implications for utilizing tourism resources and developing tourism from the perspective of revitalizing local marketplaces and urban regeneration. The ultimate goal is to formulate strategic tasks related to the local marketplace and urban regeneration of the original downtown area by implementing the theme park Legoland in Chuncheon.
Methods: It investigated cases of famous tourist attractions where theme parks implemented, and explored policy issues related to the revitalization of local marketplaces and urban regeneration following implementing the Legoland in Chuncheon. The criteria for the selection of theme park city cases were selected to meet the accessibility of the environment and space in the region, geographical interaction with local marketplaces and oldtown, tourism-related activity and convenience, stability and functionality. And it was also targeted at representative theme parks that have elements such as theme, extraordinary, aesthetics, and synthesis.
Results: Based on the case of famous theme park city, the following five policy issues were presented. The proposed policy issues include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governance system, a strategy to revitalize the oldtown, a specialized strategy for local marketplaces, the establishment of an urban regeneration circulation system, and the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connection with local marketplaces.
Conclusion: This study discovered policy issues for the revitalization of local marketplaces. The five main issues of this study are theme parks, which provide implications for contributing to revitalizing local tourism, urban regeneration and creating regional tourism polici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국·내외 테마파크 사례
4. 관련 정책 이슈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자의 무장애 관광으로서 숲길 방문빈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 탐색
- ‘미치노에키(道の駅)’의 지역 내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 관광콘텐츠의 특성이 대리만족, 관광태도,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마파크 도입에 따른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제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1호 목차
- TV뉴스 정보특성이 관광동기,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계절형축제의 위험지각이 축제활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도시관광 개발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1호 목차
- 제주도 선주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관광자 대상 이주 사업가와의 갈등요인 탐색 - 통합위협이론 관점에서
- 신혼여행경험이 결혼 만족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신혼여행 기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