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도시관광 개발과 방향
이용수 246
- 영문명
- Urban Tourism Development and Direction by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 Case Study in Yangnim-dong, Gwangju
- 발행기관
- 융합관광콘텐츠학회
- 저자명
- 홍옥범(Ok Beom Hong) 강신겸(Shin Kyum Kang)
- 간행물 정보
- 『융합관광콘텐츠연구』제10권 제1호, 111~12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양림동을 대상으로 한 사례 분석이다. 양림동에서 지난 15년간 실행된 문화적 도시재생사업과 도시관광 개발사업을 분석하였다. 5개 전략부문별로 현재까지의 추진현황, 성과와 문제점, 한계를 분석하고 시사점과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방법: 이론 리뷰를 바탕으로 물리적·환경개선, 콘텐츠·프로그램 확충, 네트워크 구축, 정책 및 행정적 과제, 정체성 마케팅과제 등 문화적 도시재생과 도시관광 활성화에 필요한 5개 전략적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틀을 설정하였으며, 양림동을 대상으로 각 전략별 추진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결과: 연구대상지인 양림동의 문화적 도시재생과 연계한 도시관광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양림동의 사례는 문화적 도시재생이 관광전략과 결합되어 추진된 사례로서 연구결과, 양림동만의 정체성을 담기 위한 노력, 예술 창작과 소비가 함께 일어난다는 점, 주민공동체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 지속가능성을 추구한다는 점, 오버투어리즘과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속도와 범위를 고민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결론: 본 연구는 본 연구는 광주 양림동의 문화적 도시재생과 도시관광 사업의 과정과 현황을 분석하고 양림동의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도시관광 활성화 전략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가지며, 첫째, 물리적 · 환경적 영역에서 현재 닫혀있는 전통 건축물과 기독교 건축물을 개방하여 문화적 공간으로 활용해야 하며 둘째, 콘텐츠 · 프로그램 영역의 전략은 정체성을 살린 여행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네트워크 측면에서는 공공과 민간을 포함하는 지역사회 거버넌스를 조직하여 발전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책 · 행정적 측면에서는 양림동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환경경관디자인 지침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에 다각적 모색을 통해 양림동이 광주의 대표적인 도시관광 대상지로 자리 잡고, 나아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s a case analysis of Yangrim-dong, Gwangju. For each of the five strategic sectors, the current status of implementation, performance, problems, and limitations so far were analyzed, and implications and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presented.
Methods: Based on the theoretical review, an analysis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deriving five strategic elements necessary for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tourism activation, and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ach strategy were analyzed for Yanglim-dong and activation plans were proposed.
Results: We analyzed the plan for revitalizing urban tourism in connection with the cultural urban regeneration of Yangrim-dong, the research target site, and proposed the revitalization plan. As a result of the study, meaningful implications are presented in that it pursues sustainability
Conclu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nalyzes the process and status of cultural urban regeneration and urban tourism projects in Yanglim-dong, Gwangju, and suggests strategies to revitalize urban tourism through cultural urban regeneration in Yanglim-dong. First, open traditional and Christian buildings. Second, develop a travel program. Third, organize community governance to seek directions for develop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guidelines for environmental landscape design.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Yanglim-dong can become a representative urban tourism destination in Gwangju through multilateral search and help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연구설계
4. 문화적 도시재생을 통한 관광활성화 전략
5.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섬 관광의 지속가능성에 관한 연구
- 휠체어 사용자의 무장애 관광으로서 숲길 방문빈도와 정서적 반응의 관계 탐색
- ‘미치노에키(道の駅)’의 지역 내 역할에 대한 탐색적 연구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문화도시의 문화관광 콘텐츠 요인 연구
- 관광콘텐츠의 특성이 대리만족, 관광태도, 관광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테마파크 도입에 따른 지역 상권 활성화 및 도시재생 정책 제언
- 융합관광콘텐츠연구 제10권 제1호 목차
- TV뉴스 정보특성이 관광동기, 여행만족도,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계절형축제의 위험지각이 축제활동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스토리텔링이 도시매력성과 장소정체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문화적 도시재생에 의한 도시관광 개발과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1호 목차
- 제주도 선주민의 시각에서 바라본 관광자 대상 이주 사업가와의 갈등요인 탐색 - 통합위협이론 관점에서
- 신혼여행경험이 결혼 만족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 신혼여행 기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