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훈련지원인의 현장중심 직업훈련 지원경험에 관한 연구

이용수 30

영문명
A Study on the Job Training Support Experience of Job Coach for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 for the People with a Significant Disability
발행기관
K교육연구학회
저자명
김민식(Min-Sik Kim) 김영란(Young-Ran Kim)
간행물 정보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1호, 47~7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에 고용된 훈련지원인이 현장에서 실제로 어떠한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지를 탐색하여, 훈련지원인이 중증장애인의 맞춤형 현장훈련에 보다 나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실천적·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훈련지원인 대상 심층 인터뷰를 통한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사용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훈련생들이 취업할 사업체에서 진행되는 훈련은 훈련지원인이 훈련생 옆에서 함께 작업하면서 반복과 칭찬으로 이루어졌으며, 훈련지원인은 직업훈련보다는 사회성을 더 중요시했고, 출근부터 퇴근까지 총 4시간 동안 대화를 유도하거나 예절, 위생, 태도, 성교육 등 상세한 부분에서 교육적 대화를 나누었다. 훈련지원인은 지원과정에서 다양한 이해관계에 놓여 있었는데, 훈련생들과는 신뢰 관계를, 사업체와는 협력관계를, 보호자와는 상호필요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수행기관과는 애매한 고용 관계를 드러내 제도·행정적 보완이 필요해 보였다. 마지막으로 훈련지원인은 과중한 업무, 낮은 처우, 불명확한 업무 경계, 어려운 훈련생모집, 비현실적인 실적 달성 목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xperience of Job Coach in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upport Projects that is offered by the field at the Field-Centric Occup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esent better support to field training customized for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s employed qualitative case methodology,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6 Job Coaches to collect data, and analyzed collected data through constant comparison and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raining assistants began their work with no previous experiences with the vocational training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but they witnessed changes to trainees and felt rewarded through their experiences of supporting the trainees. During the training sessions implemented at the establishment where trainees would be employed, the Job Coach worked together with them by their side and supported them through repetitions and praises. The Job Coach put greater importance on sociality than vocational training and spent four hours from the start to the end of their daily work on inducing the trainees to engage in conversations or having educational talks on detailed topics such as manners, hygiene, attitude, and sexuality. They had a relationship of trust with trainees, a relation of cooperation with the participant workplaces, and a relation of mutual need with trainees’ caregivers, but their employment relationship with the employed agency was ambiguous, which raises a need for institutional and administrative supplementation. Finally, Job Coach had difficulties with excessive workload, poor benefits, unclear work boundaries, difficult recruitment of trainees, and unrealistic performance goals. These difficulties can be resolved by supporting the greater professionalism of training assistants, improving their benefits, and rearranging their identity and job assign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민식(Min-Sik Kim),김영란(Young-Ran Kim). (2024).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훈련지원인의 현장중심 직업훈련 지원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리뷰, 9 (1), 47-75

MLA

김민식(Min-Sik Kim),김영란(Young-Ran Kim). "중증장애인직업재활지원사업 훈련지원인의 현장중심 직업훈련 지원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리뷰, 9.1(2024): 47-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