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성기 백제토기 생산시스템 발달과 사회 변화의 상관성

이용수 115

영문명
Correlation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Baekje pottery production system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social chang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정수옥(Jung, Suock)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7집, 3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대 사회에서 토기는 음식물을 담거나, 보관하거나, 조리하는 원래의 용도 그 이상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정치사회적으로 직간접적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새로운 물질문화의 유입은 신문화 발생을 촉진시켰으며, 계층을 나누게 하고 새로운 식문화를 발생시켰다. 또한 이를 가지고자 하는 수요층은 토기의 생산 기술을 발달시켰다. 한성기 백제토기 제작기술의 발달에서 타날기술, 깎기정면, 회전대의 보급으로 제작시간이 단축되었고 대량생산의 기반이 되었다. 소성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가마소성과 중첩소성, 고화도소성이 가능해졌고, 기종에 따른 생산 방식으로 복잡하게 운영하였다. 또한 흑색마연토기라는 특수기종을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토기생산기술의 발달함에 따라 식기의 다양성과 식사양식을 확립시켰다. 의례 행위에 사용되는 의례용 전용 토기가 생산되었다. 초대형 저장용기의 생산은 잉여생산물 증가, 초대형 취사용기의 등장은 연회, 의례행위용 사용과 연결된다. 그리고 시루, 장란형토기,부뚜막에 의한 찜조리법의 보급은 술, 떡 등이 제조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술발달과 토기의 사용은 한성기 백제토기의 수요 증가에 따른 것이며, 이들 토기가 사회상의 변화과정과 매우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대사회에서 토기의 생산과 소비는 사회상의 변화를 촉발시켰으며, 이는 백제도 마찬가지였다.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화되면서 그만큼 조리법과 식사방식도 복잡해졌다. 이는 토기와 음식이 사회적 계층화와 문화 전반과 관련되기 때문이다. 한성기 백제토기도 당시의 다양한 정치ㆍ사회적 상호작용에 따라 변화되고 파생되면서 발전해 나갔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ancient society, earthenware had a meaning beyond its original purpose of containing, storing, or cooking food, and can be seen to have been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politically and socially. The influx of new material culture promoted the emergence of new cultures, divided classes, and gave rise to new food cultures. Additionally, those in demand developed earthenware production technology. In the Hanseong period, with the development of Baekje pottery production technology, the production time was shortened with the spread of blade technology, cutting face, and rotating table, which became the basis for mass production. As firing technology developed, kiln firing, overlap firing, and high-density firing became possible, and complex production methods were operated depending on the model. In addition, it became possible to produce a special type of black polished earthenware. Additionally, with the development of earthenware production technology, the diversity of tableware and eating patterns were established. Exclusive ceremonial earthenware used in ceremonial activities was produced. The production of ultra-large storage containers increased surplus production, and the emergence of ultra-large cooking utensils was used for banquets and ceremonial purposes. And the spread of steaming cooking methods using steaming pots, long-shaped earthenware, and stoves means that alcohol, rice cakes, etc. were manufactured. This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use of earthenware is due to the increase in demand for Baekje earthenware during the Hanseong period, and it can be seen that these earthenware were very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social change. In ancient society,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earthenware triggered social changes, and as society became more complex and diverse, cooking methods and eating methods also became more complex. This is because earthenware and food are related to social stratification and overall culture. It should be seen that Baekje pottery during the Han Dynasty was changed and developed according to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interactions at the time.

목차

Ⅰ. 머리말
Ⅱ. 한성기 백제토기의 기종별 생산기술시스템
Ⅲ. 토기 생산 기술 발달과 수요층의 계층화
Ⅳ. 맺음말 : 토기 생산시스템 발달에 따른 한성기 백제 사회 변화와의 상호 작용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수옥(Jung, Suock). (2024).한성기 백제토기 생산시스템 발달과 사회 변화의 상관성. 호서고고학, (), 31-56

MLA

정수옥(Jung, Suock). "한성기 백제토기 생산시스템 발달과 사회 변화의 상관성." 호서고고학, (2024): 3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