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화의 장으로서 기념박물관 역할과 시민참여적 공공기억 만들기

이용수 71

영문명
A Study on the Role of Memorial Museums as Forum for Dialogue and Strategies for Building Participatory Public Memory: Focusing on the case of the USHM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장진희(Jang Jinhee)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9집, 277~307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상충되는 견해와 신념을 피할 수 없는 세계화된 현대 사회에서 다층적 견해가 모이는 대화의 장으로서 기념박물관 역할을 재조명하고, 시민참여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억공간의 확장 맥락에서 기념박물관의 역할 변화를 고찰하고, 박물관 참여와 관련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가장 혁신적인 기념박물관 중 하나이자 광범위한 대중 참여를 촉진하고 있는 미국 홀로코스트기념박물관 사례를 초문화적기억 이론 및 박물관참여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박물관은 공적 담론이 일어나는 장소이며, 특히 기념박물관은 과거의 기억을 안치하는 것을 넘어 시민과 함께 공공기억을 만들어 나가는 장소이다. 개인의 다층·다면적 기억은 서로 경쟁관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든지 상호교류, 연대, 결합된 목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시민의 적극적 참여는 특정 기억이 보편적 가치 속에 묻히도록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해당 기억이 민감성을 획득하고 새로운 세계적 기억풍경을 만들어 나가는 데 기여한다. 사례로 살펴본 미국 홀로코스트기념박물관은 홀로코스트 기억을 미국적 관점에서 재맥락화함으로써 시민참여를 이끌어내고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전시를 통한 정서적 참여, 교육적 접근, 디지털기술이 복합적으로 활용되었다. 시민참여를 촉진하는 방식에는 1)상설 및 특별 전시들의 유기적 배치를 통한 다층·다면적 내러티브 변주, 2)현재와의 연결 방식, 3)디지털기술 활용을 통한 공동제작(co-creation) 등의 특징이 있음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는 기념박물관이 다양한 시민들의 참여를 통해 새로운 공공기억을 형성하고, 문화적 대화를 촉진하는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기념박물관이 보다 포용적인 사회적 대화의 장으로서 공동체 내에서의 이해와 연대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오늘날 기념박물관을 비롯한 참여적 박물관을 지향하는 박물관들이 어떻게 관람객을 전시와 교육, 그리고 사회적 대화에 참여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examine the role of memorial museums as forums for dialogue where diverse perspectives converge in the context of a globalized modern society, where conflicting views and beliefs are inevitable, and to explore strategies for civic participation in this context. It investigates the changing role of memorial museums within the context of expanding memory spaces and examines theories related to civic participation. The case of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USHMM), one of today's most innovative memorial museums that fosters extensive public engagemen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s of transcultural memory theory and civic participation. Museums are places where public discourse occurs, and memorial museums, in particular, move beyond housing memories of the past to actively creating public memory with citizens. It was found that individual multi-layered and multifaceted memories are not only in competition but can also interact, show solidarity, and create a combined voice. This process of active civic participation does not bury certain memories within universal values but, rather, helps these memories gain sensitivity and contributes to the creation of new global memory landscapes. The methods by which USHMM facilitates civic participation reveal several strategies: 1) the organic arrangement of permanent and special exhibitions for varied narrative variations, 2) ways of connecting with the present, and 3) co-creation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These features suggest practical ways in which museums, including today's participatory memorial museums, can engage visitors in exhibitions, education, and social dialogue. I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memorial museums can play a central role in forming new public memories and fostering cultural dialogu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diverse citizens. This suggests that memorial museums can contribute to promoting understanding and solidarity within communities as more inclusive spaces for social dialogue.

목차

Ⅰ. 머리말
Ⅱ. 기념박물관의 역할과 시민참여
Ⅲ. 미국 홀로코스트기념박물관(USHMM)의 시민참여적 공공기억 만들기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진희(Jang Jinhee). (2024).대화의 장으로서 기념박물관 역할과 시민참여적 공공기억 만들기. 역사문화연구, (), 277-307

MLA

장진희(Jang Jinhee). "대화의 장으로서 기념박물관 역할과 시민참여적 공공기억 만들기." 역사문화연구, (2024): 277-3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