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64년 통일 논의의 확산과『世代』 필화사건

이용수 52

영문명
The Proliferation of Unification Discussions and the 『Sedae』 Literary Persecution in 1964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저자명
김상연(Sangyeon Kim)
간행물 정보
『역사문화연구』제89집, 93~126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2.29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통일 논의를 중심으로『世代』 필화사건이 지닌 역사적 맥락을 고찰하는 글이다. 박정희 정권 출범 이듬해인 1964년까지 통일 논의는 제한적으로 존재했으나 동경올림픽을 계기로 일어난 신금단 부녀 상봉 사건은 위축된 통일 논의가 다시 확산되는 단초가 되었다. 통일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구체적인 통일론을 제기한 이는 황용주였다. 황용주는 월간 『세대』를 통해 그의 민족적 민주주의를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었다. 그의 민족적 민주주의는 아시아·아프리카의 민족주의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근대화를 통한 통일’이라는 단계적인 목표를 내포하고 있었다. 황용주는 신금단 부녀 상봉, 남북 면회소 설치 추진 등으로 인해 통일 논의가 확산되고 있던 시점에서 『세대』에 중립화 통일론을 전개했다. 통일 논의가 확산됨에 따라 위기감을 느끼고 있던 반공세력은 황용주의 중립화 통일론을 처단하고자 했다. 더욱이 김형욱 중앙정보부장의 시야에서 황용주의 중립화 통일론은 허용될 수 없는 것이었으며, 정권 차원에서 두드러진 사고로 인식했다. 국회에서의 질의 과정을 통해 황용주의 중립화 통일론은 쟁점으로 떠오르게 되었고『세대』필화사건으로 확대되었다. 결국 4월 혁명기 통일 논의의 연장선상에 있던 황용주의 중립화 통일론이『세대』필화사건으로 귀결되자 확산되었던 통일 논의는 제동을 겪게 되었다. 이후 박정희 정권은 통일 논의에 대해 축소·냉각된 인식만을 보여주었고 종래의 제한적인 통일론을 재확인했다. 『세대』 필화사건을 통해 강화된 반공주의 안에서 정권 주도의 통일론만이 합법적으로 존재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통일 논의는 한국 사회에서 점차 요원한 일이 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Sedae』literary persecution, focusing on the discussion of unification. Until 1964, the year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there were limited discussions on unification, but the reunion of the Shingeumdan, which took place in the wake of the Tokyo Olympics, initiated the spread of the disappearing discussions about unification again. It was Hwang Yong-ju who raised a specific theory of unification along with the spread of unification discussions. Hwang Yong-ju was actively developing his national democracy through the monthly『Sedae』. His idea of a national democracy recognized Asian and African nationalism as an important factor for a democracy and included 'unification through modernization', his key slogan. As discussions on unification spread, anti-communist forces, including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which believed that the current situation had risen to a form of a crisis in Korea, tried to scotch Hwang Yong-ju's theory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The anti-communist forces thought that Hwang Yong-ju's theory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along with the circulating discussions of unification were contrary to the current policies. Through the questioning process at the National Assembly, Hwang Yong-ju's theory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emerged as an issue and expanded to the『Sedae』 literary persecution. In the end, when Hwang Yong-ju's theory of neutralization unification, which was an extension of the discussion about unification during the revolutionary period in April, resulted in the『Sedae』 literary persecution, the discussion about unification, was put on hold. Since then, the Park Chung-hee administration only showed a reduced perception of unification discussions and reaffirmed the existing limited unification theory. Discussions on unification became increasingly scarce in Korean society as only the regime-led unification theory was allowed within the reinforced anti-communism through the『Sedae』 literary persecu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1964년 통일 논의의 확산
Ⅲ. 『세대』 필화사건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상연(Sangyeon Kim). (2024).1964년 통일 논의의 확산과『世代』 필화사건. 역사문화연구, (), 93-126

MLA

김상연(Sangyeon Kim). "1964년 통일 논의의 확산과『世代』 필화사건." 역사문화연구, (2024): 93-1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