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복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정상 폭발에 따른폭발압력 및 충격량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이용수 11
- 영문명
- Risk Assessment Using Overpressure and Impulse for Abnormal Explosion of Composite Solid Propellant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황경섭(Gyeong-Seop Hwang) 조시현(Si-Hyeon Jo) 김동희(Dong-He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1, 92~100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복합형 고체 추진제가 비정상 폭발할 경우 주위에 위치한 사람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확률론적으로 분석하여 위험성을 검토하였다. 크기가 다른 고체 추진제 두 종류와 복합형 고체 추진제 조성에 따른 세 가지의 TNT 등가량을 기존 경험적 상관식에 적용하여 입사압력 및 충격량을 도출하였다. 이를 프로빗 분석에 이용하였고 사람 및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고체 추진제 폭발의 위험성을 파악하였다. 추진제의 크기가 크고 TNT 등가량이 많을수록 입사압력 및 충격량 또한 큰 경향이 확인되었다. 한편, 화약량은 입사압력 보다 충격량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입사압력 및 충격량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은 고막파열, 머리 충격으로 인한 사망, 전신 전위 충격으로 인한 사망, 폐 손상으로 인한 사망 확률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또한, 구조물에 미치는 영향은 유리창의 파손, 가벼운 손상, 심각한 손상, 구조물의 붕괴 확률 순으로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risks were investigated by probabilistic analysis of the effects on the person and structure locatedaround the composite solid propellant when it explodes abnormally. Two types of solid propellants of different sizes andthree TNT equivalents of composite propellants were applied to empirical correlation to derive incident pressure andimpulse. These were used in probit analysis, and the effects on the person and structure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odetermine the risk of solid propellant explosion. The larger the propellant and the more the TNT equivalent, the higher theincident pressure and impulse. Moreover, the amount of propellant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ulse than theincident pressure. The effects of the incident pressure and impulse on human were observed to be greater in the order ofprobability of ruptured eardrums, death from head impact, death from whole-body displacement impact, and death from lungdamage. Furthermore, the effects on the structure were observed to be greater in the order of probability of breakage ofwindow, minor damage, major damage, and collapse of the building.
목차
1. 서 론
2. 고체 추진기관의 폭발
3. 고체 추진기관의 위험성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 효과에 대한 모사연료 모델링
- 샌드위치 가압방식 제연설비의 성능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가구구성이 화재대응능력과 화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시 상황인지 및피난유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ㆍ훈련 시나리오 개발
- 부속실 제연설비의 유입공기 배출장치로 인한 과압 발생에 관한 연구
- 사회지표를 활용한 다층퍼셉트론 기반 화재발생예측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 유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증강현실 기반의 교육ㆍ훈련시스템 개발
-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고온 이력을 받은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의물성 평가 및 잔존압축강도 추정방법 검토
- 복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정상 폭발에 따른폭발압력 및 충격량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1 목차
- 재난대응 로봇 오퍼레이터 운용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결과의 정량적평가방법 개발 및 ANOVA 분석을 활용한 훈련 효과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