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 효과에 대한 모사연료 모델링
이용수 87
- 영문명
- Surrogate Model for the Effect of Charge State in Lithium-ion Battery Fires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김신우(Sin-Woo Kim) 이의주(Eui-Ju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1, 1~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발생하는 이상기후와 환경 문제로 친환경 에너지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며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을 위해 배터리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하지만 배터리 화재 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어 보다 안전한 사용과 화재특성을밝히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배터리의 많은 종류로 인해 모든 경우의 실험을 수행하기 어렵기 때문에배터리 화재를 모사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이 연구는 배터리 열폭주 현상의 모델링 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충전율의 효과와 배터리 가연물을 모사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배터리의 구성물질을 기반으로 모사연료3가지를 선정하였으며,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이 증가할 때 일어나는 효과를 모사하기 위해 산소의 농도를 높이는방식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산소농도의 증가로 온도와 압력이 상승하였으며, 배터리의 열폭주로 나타나는 폭발을적절히 모사할 수 있었다. 특히 모사연료 중 고온에서 반응하는 C2H6는 배터리의 물리적 폭발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H2와 CH4등으로 열분해 되어 화학적 폭발의 위험도 함께 증가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demand for eco-friendly energy sources, including batteries, has increased rapidly owing to growing climateand environmental problems. However, battery fire accidents are also increasing, and many researchers are focusing on thesafe use of batteries and their flammability characteristics. Owing to the multiple battery types, conducting experiments isdifficult in all cases, so various methods to model battery fires are being attemp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effect ofcharge states and models surrogate fuels for battery thermal runaway. Three surrogate fuels were selected based on thebattery components, and a method of increasing the oxygen concentration was adapted to model the effect that occurs whenthe charge states of a battery fire increases. As a result,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increased in all cases, and it appearsthat the explosion caused by the battery thermal runaway can be simulated by the model. On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is that ethane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not only contributes to the physical explosion of the battery but also increasesthe risk of chemical explosion as it decomposes in to H2 and CH4.
목차
1. 서 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 효과에 대한 모사연료 모델링
- 샌드위치 가압방식 제연설비의 성능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가구구성이 화재대응능력과 화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시 상황인지 및피난유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ㆍ훈련 시나리오 개발
- 부속실 제연설비의 유입공기 배출장치로 인한 과압 발생에 관한 연구
- 사회지표를 활용한 다층퍼셉트론 기반 화재발생예측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 유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증강현실 기반의 교육ㆍ훈련시스템 개발
-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고온 이력을 받은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의물성 평가 및 잔존압축강도 추정방법 검토
- 복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정상 폭발에 따른폭발압력 및 충격량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1 목차
- 재난대응 로봇 오퍼레이터 운용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결과의 정량적평가방법 개발 및 ANOVA 분석을 활용한 훈련 효과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