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구구성이 화재대응능력과 화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Effect of Household Composition on Fire Coping Capacity and Fire Damage
- 발행기관
- 한국화재소방학회
- 저자명
- 장추(Chu Zhang) 홍원화(Won-Hwa Hong) 배영훈(Young-Hoon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Vol.38 No.1, 43~5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공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지역사회의 화재대응능력을 고려한 화재 위험성 평가를 위해, 화재대응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중 하나인 가구 구성에 따른 화재대응능력을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통계분석을 통해 가구 구성이 화재피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화재대응능력을 고려한 화재 위험성 평가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조사결과, 가구 구성에 따른 화재대응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개인의 화재대응능력은 다인 가구에서 더 높게, 지역사회의 화재대응능력은 1인 가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 1인 가구의 수와 화재발생 건수 및 인명피해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와 상관성분석 결과 고찰을 통해 화재대응능력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o conduct a comprehensive fire risk assessment (FRA) considering the fire coping capacity (FCC) ofindividuals and communities, we analyzed the FCC based on household composition, a factor influencing FCC, through asurvey. Statist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impact of household composition on fire damage with the aim ofproposing the feasibility of an FRA incorporating FCC.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the FCC based on household composition, with a higher individual fire response capability in multi-person households andan elevated community FCC in single-person households. Furthermore, th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between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and the occurrence of fire incidents and casualties. In conclusion, this studyexplored the potential of FCC in FRA by drawing insights from the survey and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목차
1. 서 론
2. 이론적 고찰
3. 가구 구성에 따른 화재대응능력 조사
4. 가구 구성에 따른 화재대응능력 분석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SO 7240-7 면섬유 훈소화재에 따른 연기감지기 응답특성에 관한 연구
-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의 충전율 효과에 대한 모사연료 모델링
- 샌드위치 가압방식 제연설비의 성능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 가구구성이 화재대응능력과 화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시 상황인지 및피난유도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ㆍ훈련 시나리오 개발
- 부속실 제연설비의 유입공기 배출장치로 인한 과압 발생에 관한 연구
- 사회지표를 활용한 다층퍼셉트론 기반 화재발생예측
- 소방안전관리자 소방시설 유지관리능력 향상을 위한증강현실 기반의 교육ㆍ훈련시스템 개발
- 소방공무원의 정신건강과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고온 이력을 받은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의물성 평가 및 잔존압축강도 추정방법 검토
- 복합형 고체 추진제의 비정상 폭발에 따른폭발압력 및 충격량을 이용한 위험성 평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8 No.1 목차
- 재난대응 로봇 오퍼레이터 운용능력 향상을 위한 훈련 결과의 정량적평가방법 개발 및 ANOVA 분석을 활용한 훈련 효과 검증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공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공학 > 공학일반분야 NEW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제39권 제1호 목차
- A* 알고리즘 기반의 F_A* 알고리즘을 활용한 화재 시 대피 경로 탐색 연구
- RSSI와 삼변측량법을 이용한 화학구조대 훈련자의 위치정보 측정 실험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