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이용수 7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Records Management in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fice: Focusing on the Percept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ide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장연희(Yeonhee Jang) 윤은하(Eun-Ha You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1호, 187~20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을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주로 국회의원 보좌직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면담을 통해 그들의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국회의원실의 기록관리 책임은 의원실의 보좌직원이 담당하고 있지만 아직 기록관리에 대한 인식이 부족함으로 체계적 기록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일부 보좌직원들은 기록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여전히 인식의 변화와 실천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실천을 위한 체계적 교육과 지원이 부족한 상황이라는 점도 드러났다. 보좌직원의 인식은 적극적 유형(A), 현실 순응적 유형(B), 국회의원 기록의 특수성을 강조하는 유형(C)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에서 보좌직원의 역할의 중요성을 고려했을 때 특히 유형 B와 C의 보좌직원들의 인식 변화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록관리에 대한 교육 및 인식개선 프로그램, 통합적인 관리 시스템의 도입, 정책 및 제도적 지원을 주요 과제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record management in parliamentary offices and identify areas of improvement. For thi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primarily with parliamentary aides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and needs. The research revealed that although the responsibility for record management in parliamentary offices lies with the aides,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is lacking because of inadequate awareness. While some aid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cord management, there is still a need for a change in perception and practice. Furthermore,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and support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The perceptions of aid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proactive (type A), pragmatically adaptive (type B), and those emphasizing the specificity of parliamentary records (type C). In particular,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ides in types B and C is crucial, considering their pivotal role in parliamentary office record management. In response, this study suggests education and awareness improvement programs for record management,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record management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policy and institutional support as key task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국회의원실 기록관리 개선방안
6.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기록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RiC-O(Records in Contexts - Ontology)를 활용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라키비움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