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A Study on Selection Criteria and Evaluation System for Preservation Formats of Video-Type Digital Record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지혜(Ji-Hye Kim) 양동민(Dongmin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1호, 163~18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2년 국가기록원은 공공표준 「전자기록물 보존포맷 선정기준(v1.0)」을 제정하여 전자기록물 유형별로 적합한 보존포맷을 선정할 수 있도록 기준을 마련하였다. 기술 발전에 따라 파일포맷의 종류와 그에 따른 전자기록물의 유형이 다양하게 생산되고 있으나 문서 유형의 보존포맷 PDF/A-1b 외 다른 유형의 전자기록물에 적용 가능한 보존포맷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은 보존포맷 선정기준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시청각기록물, 특히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고유기준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유기준을 마련하기 위해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에 관한 필수보존속성을 제안하며, 이를 기반으로 비디오 유형 고유기준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비디오 파일의 특성에 따라 비디오(컨테이너)형, 비디오(코덱)형으로 구분하여 각각 3개, 6개 고유기준 평가항목을 도출하였고 평가항목별 평가문항을 설계하여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적합성 평가를 위한 선정기준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s establishment of the Selection Criteria for Preservation Format of Digital Records (v1.0) in 2022, criteria have been formed to facilitate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preservation formats for various types of digital records. With the advancement of technology, diverse electronic file types are produced. However, no specific criteria exist for records other than document types, such as PDF/A-1b.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rive intrinsic criteria for selecting preservation formats for audiovisual records, particularly focusing on video-type digital records, to expand the scope of the preservation format selection criteria. Initially, significant properties of video-type digital records were determined, forming the basis for the intrinsic criteria. According to these properties, the video types were categorized into container type and codec type, and three and six evaluation criteria items were derived, respectively. By structuring evaluation criteria for each attribute, this paper proposes intrinsic criteria for selecting preservation formats for video-type electronic record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필수보존속성 도출
4.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을 위한 고유기준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기록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RiC-O(Records in Contexts - Ontology)를 활용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라키비움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