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이용수 27
- 영문명
- Analysis and Operational Model Design of the “Village Citizen Archivist” Training Program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윤규빈(Gyubin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1호, 111~13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까지 진행된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이하 “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운영 방안으로 역량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교육 프로그램의 수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운영을 체계화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마을기록활동가의 역량, 교육 프로그램과 기록활동의 지속성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문헌을 통해 마을기록활동가의 의미와 역할을 알아보고, 2015년부터 2023년까지의 교육 프로그램 진행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의 시사점을 프로그램의 교육자 면담을 통해 검증하였다. 면담의 시사점은 목표별 프로그램 운영 방안, 마을기록활동가의 역량, 발전 방안으로 정리하여 운영 모형에 반영하였다. 역량 기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모형은 모형의 구조, 설계 원칙, 목표별 교육 과정 모듈, 교육 프로그램 운영 단계별 고려 사항으로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village citizen archivist training program (hereinafter “training program”) and propose a competency-based training program operational model to improve it. With the steadily increasing number of training programs, revitalizing programs and systemizing operations become imperative. This study focuses on achieving the program's goals, the competence of village citizen archivists, and the continuity of training programs and archiving activities. To this end, the meaning and role of village citizen archivists were investigated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Moreover, the current status of training programs from 2015 to 2023 was identified, and the implications of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verifi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program educators. The implications of the interview were summarized as the program operational plan for each goal, the competence of village citizen archivists, and the development plan, thereby being reflected in the operational model.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program operational model was proposed to incorporate a model structure, design principles, curricular modules for each goal, and considerations for each stage of education program operation.
목차
1. 서론
2. 마을기록활동가의 의미와 역할
3.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진행 현황
4. 교육 프로그램 운영의 문제점과 역량 기반의 운영 방안
5. 역량 기반의 교육 프로그램 운영 모형 설계
6.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기록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RiC-O(Records in Contexts - Ontology)를 활용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라키비움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