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이용수 6
- 영문명
- Analysis and Utilization Plan of International Archivists’ Competency Framework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전보배(Bobae Jun) 설문원(Moon-won Seol)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1호, 137~16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문직의 역량은 전문성을 입증하고 개발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역량의 개념과 역량모델의 개발, 활용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고,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를 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기록전문직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역량 체계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대상은 해외 기록전문가협회 등에서 개발한 기록전문직 역량체계 5가지로 선정하였다. 해외 사례 분석 결과 기록전문직의 역량 체계는 크게 2가지로 활용되고 있었다. 첫 번째는 전문정의 입증을 위한 활용으로 기록전문가 협회 차원에서 공인전문가 등록을 위한 검증 기준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전문성 강화를 위한 활용으로 전문직 개인의 자가 평가 및 전문 계속 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연계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활용 방안은 역량의 입증과 강화라는 역량 체계의 활용 목적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운영될 수 있다.
영문 초록
Professional competencies serve to demonstrate and develop expertise. As such, the study summarized theories on the concept of competency and competency model development and utilization, proposing ways to utilize the competency system to strengthen domestic archivists’ expertise through a case study of international archivist competency systems. Five competency frameworks for archivists developed by international archivist associations were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archival profession’s competency frameworks were primarily utilized in two ways. First, they are used to verify professional definitions, which are used as verification standards for registering certified professionals at the archivist association level. Second, they are used to enhance expertise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professional self-assessment and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design. These two applications can operate in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to utilize the competency framework in demonstrating and strengthening competencies.
목차
1. 서론
2. 역량과 역량모델
3.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사례
4. 기록전문직의 전문 역량 체계 활용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기록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RiC-O(Records in Contexts - Ontology)를 활용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라키비움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