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이용수 47
- 영문명
- Reconsideration on the Disposal of Records in Digital Era: Regarding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 발행기관
- 한국기록관리학회
- 저자명
- 김명훈(Myoung-h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록관리학회지』제24권 제1호, 73~8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2.28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사고를 중심으로 기록관리 영역에서 정보관리에 관한 논의가 형성되는 과정과 함께, 기록이 지닌 정보로서의 활용성을 강화시키는 정보관리 기능의 확대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그동안 기록의 폐기는 대량의 기록 감축을 통해 관리 및 보존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물리적인 파기 개념 정도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디지털 시대를 맞아 기록의 폐기는 기록관리 영역에서의 정보관리 논의에 대한 단초를 제공함과 더불어, 새로운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관리자로서의 기록관리 방향성을 설정하고 역할을 강화시키는 논의의 중심축을 형성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우선 종이 시대의 기록 폐기에 대한 사고를 고찰한 후, 기록관리 영역의 분화를 통해 정보관리에 관한 논의로 전개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어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를 둘러싼 논쟁을 고찰한 다음, 기록이 지닌 정보로서의 활용성을 강화시키는 정보관리 기능의 확대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iscusses the process of forming discussions on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need to expand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that promote the utilization of records as information, focusing on the thought of records disposal in the digital era. Until now, records disposal has been recognized as a concept of physical destruction aimed at reducing the cost required for management and preservation through the reduction of large numbers of records. However, records disposal provides a starting point for discussions on information management in the field of records management. It forms the central axis for debate to strengthen the role of records management as information managers in the digital era.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thought of records disposal in the paper age, analyzes the division of the function of records management and the process of developing into discussions on information management, and examines the controversy surrounding records disposal in the digital era.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expand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 that promote the utilization of records as information.
목차
1. 서론
2. 종이 시대 기록의 폐기와 기록관리의 전업화
3.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와 정보관리 기능의 확대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국내외 기록서비스 연구동향 분석
- 미술 아카이브 전문인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대미술에서의 아카이브 담론과 ‘아카이브 아트’의 재고찰
- RiC-O(Records in Contexts - Ontology)를 활용한 국가기록원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서비스 개선방안
- 비디오 유형 전자기록물의 보존포맷 선정기준 및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 ‘마을기록활동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및 운영 모형 설계
- 해외 기록전문직 역량 체계 분석 및 활용 방안
- 국회의원실 기록관리의 현황과 개선방안
- 라키비움 웹 정보서비스 평가지표 개발 및 평가
- 동시대 미술작가들의 작품활동 기록화 현황과 지원 방안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목차
- 디지털 시대 기록의 폐기에 대한 재조명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다문화가정 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성취도 격차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