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친환경 인적자원관리와 친환경 업무풍토에 대한 지각,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 환경 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2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Perceptions of Green HRM, Green Work Climate, Employee Green Motivation, and Environmental Commitment: The Case of Bangladesh Textile Industry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 저자명
- 액터 아프로자(Akter Afroza) 이현응(Hyuneung Lee)
- 간행물 정보
-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8권 제4호, 85~115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환경 파괴와 기후 변화에 대한 전세계적 우려가 심화됨에 따라 지속 가능한 친환경 전략과 인적자원 관련 정책을 정렬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조직에서 친환경 인적자원관리는 중요한 전략적 접근으로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 인적자원관리가 조직 내에 친환경 업무풍토를 조성하고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를 강화함으로써 환경 몰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가정하고, 이에 대한 실증적 증거를 획득하기 위해 섬유 산업에 종사하는 방글라데시 회사의 직원 201명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지각은 친환경 업무풍토에 대한 지각 및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와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둘째, 친환경 업무풍토에 대한 지각은 친환경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지각의 영향을 통제한 상태에서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친환경 업무풍토에 대한 지각 및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는 환경 몰입과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었다. 넷째 친환경 업무풍토에 대한 지각과 종업원의 친환경 동기는 친환경 인적자원관리에 대한 지각과 환경 몰입 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기초로 시사점과 제안 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global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degradation and climate change intensify, gr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GHRM) has emerged as a crucial strategic approach for organizations that are recognizing the need to align their human resource practices with sustainable, eco-friendly initiatives.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GHRM affects employees’ environmental commitment by fostering a green work climate and enhancing their green motivation. To gather empirical evidence for this proposition, the researchers collected data from 201 Bangladeshi employees working in the textile industry, and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ceptions of GHRM ha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both perceived green work climate and employee green motivation. Second, perceived green work climate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mployee green motivation controlling for perceptions of GHRM. Third, both perceived green work climate and employee green motiv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environmental commitment. Fourth, both perceived green work climate and employee green motiva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GHRM-environmental commitment relationshi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Research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