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용수 45

영문명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for Teachers
발행기관
한국열린교육학회
저자명
김태선(Tae Sun Kim) 정애경(Ae-Kyung Jung) 신주연(Joo Yeon Shin)
간행물 정보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1호, 107~131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1.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사회의 불공평한 정치 및 사회 요소를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비판적 의식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에 대한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 선행연구와 국외에서 개발된 척도를 고찰하여 한국사회의 성, 인종, 계층의 세 영역의 비판적 의식을 측정하는 예비문항을 제작하고, 9인의 전문가 평정을 통해 68문항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68문항을 사용하여 205명의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요인, 20문항을 도출하였다. 연구2에서는 초중고 교사 228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비판적 의식이라는 일반요인과 성, 인종, 계층의 3요인구조의 이중 요인 모형을 선택하고 20문항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공인타당도, 수렴타당도, 변별타당도를 확인을 위해 기존에 개발된 비판적 의식 척도, 다문화태도 척도, 다문화교육역량척도, 계층차별주의, 성차별주의 척도,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의 학문적 의의와 활용방안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measuring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aimed at analyzing inequitable political and social conditions in Korean society. Specifically, the scale targets three domains: gender, race, and class.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Study 1,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as created, drawing upon previous research and international scales, and focusing on the domains of gender, race, and class. This proces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68-item questionnaire, refined through the input of nine experts and administered to 205 K-12 teacher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yielded three factors and 20 items. Study 2 involv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ith a different sample of 228 K-12 teachers, revealing a bifactor model. This model comprised a general factor of critical consciousness and a three-factor structure representing gender, race, and class. Further validation of the teachers'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was achieved by examining concurrent,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ies. This was done through correlations with measures of critical consciousness, multicultural attitudes, multicultural education competency, classism, sexism, belief in a just world, and social desirabil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s discussed implications, suggested uses for the scale, and propose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this area.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1
Ⅲ. 연구2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태선(Tae Sun Kim),정애경(Ae-Kyung Jung),신주연(Joo Yeon Shin). (2024).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32 (1), 107-131

MLA

김태선(Tae Sun Kim),정애경(Ae-Kyung Jung),신주연(Joo Yeon Shin). "교사의 비판적 의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열린교육연구, 32.1(2024): 107-13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