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지털 인문학으로 분석한 문화재 안내판의 분포와 어휘
이용수 119
- 영문명
- Distribution and Vocabulary of the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Boards Analyzed by Digital Humanities
- 발행기관
-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 저자명
- 최유식(Yusik Choi)
- 간행물 정보
- 『문화역사지리』제35권 제3호, 135~15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문화재 안내판은 관람자들에게 문화재의 지정정보, 역사적인 배경, 보존 가치 등을 설명하기 위해 현장에설치되는 공공시설물이며, 문화재청에서는 2019년부터 현재까지 안내판 정비사업으로 그 문안들을 알기 쉽게수정하고 있다.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언어학에 치우쳐 있는 상황에서 본고는 디지털 인문학의 방법론, 구체적으로 GIS와 말뭉치 언어학을 도입함으로써 2019년부터 2023년 5월 현재까지 정비된 개선안내판의 분포와 어휘를지리학의 입장에서 분석했다. 전반부에서 총 2,705개의 개선안내판에 대해 귀납적 분석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한결과, 경상북도 경주시가 가장 많은 안내판을 보유하고 있고 행정구역의 면적을 감안하면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에서 가장 밀도가 높게 나타난다. 자주 쓰인 단어들은 중부·충청·전라·경상의 4대 권역별로 다르며 문화재 지정정보, 시대구분, 유물의 외형을 묘사하는 말이 안내판으로서의 특성을 잘 드러낸다. 후반부의 연역적 분석에서 본고는 특정 단어들이 전국 어디에서 언급되는지를 시각화했고, 그 결과 연구목적과 무관한 용례들을 주의 깊게 걸러내지 않을 경우 의외의 장소에서 그 단어들이 나타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본고는 가용한 자료의 한계상 최신 안내판만을 조사했으나 후속 연구에서는 정비사업 이전의 자료까지 보충함으로써 문화재 안내판의 전모를 파악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Cultural Heritage Interpretation Boards are public facilities erected on site to explain the designation, historical background, and preservation value of the cultural heritage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has been revising the inscriptions for the improvement project since 2019. With the previous literature largely grounded upon linguistics, this article analyzes the distribution and vocabulary of the Boards reinstalled from 2019 to May 2023. To do so, I employ the methodology of GIS and corpus linguistics in the name of digital humanities. The first half of the analysis performs inductive analyses examining a total of 2,705 Boards revised. Gyeongju-si houses the greatest number of them, while Paldal-gu in Suwon-si has the highest density. The top-frequency words — involving designation, periodization, and appearance — vary across the four regions and affirm the corpora’s uniqueness as Boards. In the second half devoted to deductive analyses, I visualize the locations where specific terms are mentioned. The search words are found in unexpected places unless irrelative usages are filtered out. Although this paper examined only the latest revisions due to the limited accessibility to the previous information, I hope to identify the complete patterns of the Boards in follow-up projects by incorporating the pre-revision data.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방법
3. 귀납적 분석
4. 연역적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지리학분야 NEW
- 야외박물관으로서의 경주 남산 만들기 : 1950-90년대 지역문화공동체의 유산 실천을 중심으로
- 제주해녀문화 관광자원화의 진정성과 지속가능성 - ‘해녀의 부엌’을 사례로
- 칼 사우어(Carl O. Sauer)의 문화·역사지리학에 투영된 환경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