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이용수 23

영문명
‘Baekjeong’ Appear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cused on the Origin, Identity, and Assimilation Process
발행기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저자명
이전(Jeon Lee) 이호욱(Howook Lee)
간행물 정보
『문화역사지리』제35권 제3호, 115~134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초기 이전부터 다양한 종족의 유목민들이 북방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 조선 초기에 전국에 흩어져살았던 북방 유목민 혹은 그 후예들을 백정(白丁)으로 개칭하여 부르기 시작하였다. 조선 시대 백정은 주로 짐승을 잡고 가죽을 제조하거나, 버드나무로 생활용품을 만들거나, 여러 마을을 돌아다니며 오락을 제공하는 일에 종사하였다. 조선 초기 위정자들은 백정을 원주민과 통합시키기 위해 토지를 지급하여 농사를 짓게 하거나 호적에등록시켜 정착을 유도하는 등 다양한 제민화 시책을 추진하였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조선 전기에 백정은본래 양인 신분이었지만, 유목민의 생활양식을 쉽게 버리지 못하여 이방인의 지위로 차별을 받았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에 백정은 원주민과 완전히 동화된 상황에서 더 이상 유목민의 후예가 아니라 도축업, 유기제조업 등 천한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을 차별하는 용어로서 그 의미가 변화되었다. 조선 초기에 백정은 북방 유목민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지만, 한반도의 원주민과 동화과정을 거치면서 오늘날 한민족의 형성에 일정한 부분공헌하였다.

영문 초록

Before the start of the Joseon Dynasty, nomads from various ethnicities entered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north.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cattered inhabitants in the country, who were either the northern nomads or their descendants, began to be called Baekj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Baekjeong were primarily engaged in animal slaughter, leather manufacturing, crafting daily necessities from willow trees, and traveling to different villages to provide entertainment. To facilitate the integration of the Baekjeong with the natives, officials of the early Joseon Dynasty implemented several civilization policies, including allocating land for farming, registering them in the family register to encourage settlement, etc. Despite these efforts, Baekjeong were originally commoners but faced discrimination due to their status as outsider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s they could not easily abandon their nomadic lifestyle. However, following the Imjinwaeran and the Byeongjahoran, the term Baekjeong underwent a change in meaning, evolving into a discriminatory label for individuals who no longer belonged to nomadic descent, but only worked in menial occupations such as slaughter and organic manufacturing, in a situation where they were completely assimilated with the native population. Baekjeong had the identity of northern nomads in the early Joseon Dynasty, but the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present-day Korean people through their assimilation with the native inhabitants of the Korean Peninsula.

목차

1. 들어가면서
2. 북방의 유목민들은 언제 한반도에 흘러들어 왔는가?
3. 조선 시대의 백정은 어떤 부류의 일에 종사하는 사람들인가?
4. 조선 시대 백정의 제민화 시책은? 그리고 백정의 동화과정은?
5. 백정의 기원, 신분, 정체성 등에 대한 논쟁점은?
6. 요약과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전(Jeon Lee),이호욱(Howook Lee). (2023).『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문화역사지리, 35 (3), 115-134

MLA

이전(Jeon Lee),이호욱(Howook Lee).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정(白丁)’." 문화역사지리, 35.3(2023): 115-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