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한의 별칭 鷹隼에 관한 고찰

이용수 6

영문명
A Study on Eungjoon(so-called Hawk), the different Name of Mahan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박해현(Haehyeon Park)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3輯, 59~80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나주 복암리 1호분에서 출토된 녹유탁잔에 있는 ‘응준’ 명문을 분석함으로써 마한의 정치적 실체 및 백제와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도되었다. 최근 고고학적인 연구성과를 끌어들여 연구에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먼저 유물을 통해 응준으로 상징되는 마한의 중심지가 영산강 유역임을 확인하였다. 나주 복암리 1호 고분에서 출토된 금으로 만든 관식 유물과‘응준’ 명문이 있는 녹유탁잔(綠釉托盞)을 통해 이 무덤의 주인공이 마한 연맹체의 연맹장급에 해당하는 인물임과 동시에 이곳이 마한의 중심지임을 밝혀냈다. 그리고 녹유탁잔에 보이는 ‘응준’의 다양한 용례와 응준의 서식지와 관련 자료들을 분석하여 응준이 백제의 별칭이 아닌 마한을 지칭하는 상징임을 밝혀냈다. “마한 사람들은 성질이 용맹스럽고 사납다”는 중국 기록과 용맹함을 상징하는 응준의 표상(symbol)이 일치함을 새롭게 확인하여 응준이 마한의 정체성임을 확인하였다. 고구려나 백제 등 부여계는 사슴을 상징으로 하였으나, 한반도 남부지역에서는 진한·계림=닭, 마한=매 등 새로 연결되고 있는 점, 고려시대의 응방의 중심지가 나주였고, 매의 서식지가 지리산이라는 점 등이 이러한 주장의 근거들이다. 마지막으로 응준을 통해 백제와 마한 세력의 대립 갈등을 살폈다. 7세기 중엽에도 백제는 새로운 국호인 남부여 대신에 마한의 별칭 응준을 백제의 별칭으로 사용하고 있음을 황룡사 9층탑에 보이는 응유(鷹遊)라고 용어에서 확인하였고, 이 사실을 통해 6세기 중엽 마한·백제 통합 이후 마한계 인물들이 백제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reality of Mahan by analyzing Eungjoon, the different Name of Mahan. The fac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relics, it was confirmed that the center of Mahan, symbolized by Eungjoon, was the Yeongsan River basin. In Naju Bokamri-tombs No.1, a gold crown ornamental relic and a green-glazed cup(綠釉托盞) with the inscription‘Eungjoon’were found. The appearance of a green-glazed cup engraved with Eungjoon, a symbol of Mahan, indicates that the main character of this tomb is the king of Mahan. At the same time, it tells us that this is the center of Mahan. Next, by analyzing various uses of Eungjoon, it was revealed that Eungjoon was a symbol of Mahan, not a nickname of Baekje. The Chinese record that“Mahan people are valiant and ferocious in nature”and the symbol of Eungjoon representing bravery are consistent with the symbol of Eungjoon, who symbolizes courage. These arguments are based on the fact that Buyeo, such as Goguryeo and Baekje, symbolized deer, bu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there are new connections such as Jinhan·Gyerim = Chicken, Mahan = hawk, etc., and Naju was the center of Eung-bang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the habitat of the hawk was Mt. Jirisan. Finally, through Eungjoon, the conflict between Baekje and Mahan forces was examined. Even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Baekje was using Eungjoon, the different Name of Mahan, as the nickname of Baekje instead of Nambuyeo, the new national name. Baekje was called Eungyu(鷹遊) in the 9-story pagoda of Hwangnyongsa Temple. This shows that Baekje merged with Mahan in the middle of the 6th century, but later, people from Mahan formed the dominant power of Baekje.

목차

Ⅰ. 머리말
Ⅱ. 복암리 1호 고분 피장자의 성격
Ⅲ. 응준(鷹隼) 녹유탁잔 출토와 의미
Ⅳ. 마한 표상 ‘응준(鷹隼)’과 백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해현(Haehyeon Park). (2023).마한의 별칭 鷹隼에 관한 고찰. 선사와 고대, (), 59-80

MLA

박해현(Haehyeon Park). "마한의 별칭 鷹隼에 관한 고찰." 선사와 고대, (2023): 59-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