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방 혹은 시대정신
이용수 2
- 영문명
- Mimesis or Zeitgeist: Wars represented in Modern Painting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최영진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29권 제1호(통권 제86호), 205~23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쟁 그림의 기본적인 목표는 전쟁의 기록이다. 그런 점에서 전쟁 그림은 전쟁의 선택적 재현이라는 본질적 기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쟁 그림은 단순히 정치적 재현을 넘어 해당 전쟁의 본질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빛의 변화에 주목했던 인상주의 화풍에는 빛의 파괴력이 지배했던 제1차 세계대전의 본질을 잘 드러나 있다면, 몰개성적인 초현실주의 작품에는 기계과 철근이 지배했던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성격이 상징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이러한 그림들은 전쟁의 재현이라는 기본적 목표에 충실하지만, 전쟁의 본질적 성격을 앞서 보여준다는 점에서 전쟁을 이해하는 데 있어 독특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영문 초록
The basic goal of the war picture is the record of war. In this regard, the war picture is unlikely to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essential function of selective representation of war. It is inevitably political in that it should reflects the national position of the country ordering paintings or the artist producing them. However as seen earlier, the war picture goes beyond just political representation and expresses the nature of the war. Impressionist painting style, which paid attention to changes in light, clearly reveals the nature of World War I, while Picasso’s cubist painting, Guernica, shows well the tragedy of strategic bombing on Guernica. Lege’ machanicalistic work, depicts the nature of the Battle of Stalingrad, which was dominated by machines and rebars. These war paintings do not simply end with political representation of war, but are also showing the essential nature of war.
목차
Ⅰ. 전쟁과 그림의 만남
Ⅱ. 제1차 세계대전과 좀비의 전쟁
Ⅲ. 게르니카 폭격과 해체된 육신
Ⅳ. 스탈린그라드 전투와 얼굴 없는 전사들
Ⅴ. 결론: 전쟁을 예언한 회화 양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