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의 전략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
이용수 16
- 영문명
-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trategic Studies in Korea: A Nexu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만석 함형필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29권 제1호(통권 제86호), 121~167쪽, 전체 4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3.31
8,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한국의 바람직한 전략연구의 방향과 발전방안은 무엇인가에 대한 저자들의 고민의 결과물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전략연구를 실행하는 연구자들에게 전략 및 정책현장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연구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전략연구에 내재된 이론과 실천의 간극을 좁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전략연구의 대상인 “전략”의 개념과 “전략실행과정”을 논의하였고, “전략연구”의 정의와 유용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전략연구에서 적용할 수 있는 연구 유형과 방법론 등을 차례대로 검토한 후, 한국의 전략연구 현황을 토대로 실천 가능한 발전방안을 도출하기 위해 대표적인 전략연구 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337편의 제목에 포함된 주제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은 국내의 전략연구가 주제와 분석방법 측면에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는 문제점을 식별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 한국의 진화적 전략연구를 위해 다음의 세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 전략연구는 명료한 이론적 논거를 바탕으로 실제 전략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실천적 연구가 되어야 한다. 둘째, 전략연구는 전략실행과정의 전체 또는 특정 부분과 연관되어야 하며, 그 관련성이 명확하게 설명되어야 한다. 셋째, 전략연구는 특정 주제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전략문제들을 폭넓은 과학적·분석적 방법을 통해 연구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rose from the authors’ concerns about what constitutes desirable strategic studies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bridg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strategic studies by presenting desirable research directions that strategy researchers can use. To that end, this paper first examined the definition and utility of “strategic studies,” as well as the concepts of “strategy” and “strategic process,” which are the subjects of strategic research. This paper then reviewed the research types and methodologies of strategic studies. Following that, the paper surveyed the titles of 1,337 strategy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several major South Korean journals in the field over the last ten years. This paper, as a result, identified an important problem in strategy studies that researchers have been focusing on a limited number of topics and research methods. The paper makes three claims in support of South Korea’s evolutionary strategic research. Strategic studies should, first and foremost, be practical research that provides useful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address real-world strategic problems based on solid theoretical foundations. Second, strategic studies should be linked to the entire or a specific part of the strategic process, and their relevance to the strategic process should be explained. Third, strategic studies should not be restricted to a single topic; rather, we encourage scholars to investigate a wide range of strategic issues using a variety of scientific and analytical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전략의 개념과 전략실행과정
Ⅲ. 전략연구의 개념과 유용성
Ⅳ. 전략연구의 유형과 연구방법
Ⅴ. 전략연구의 대상 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