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와 『베아트리스와 버질』
이용수 87
- 영문명
- Yann Martel’s Life of Pi and Beatrice and Virgil: An Allegory as the Metamorphosis Occurring Between Animal and Man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윤민우(Minwoo Yoon)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제27집 3호, 287~351쪽, 전체 65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10,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Yann Martel’s two novels, Life of Pi and Beatrice and Virgil, deal with entirely different subject matters, but have something in common. Both are about outrageously hard and absurd lives, the shipwrecked life and the Holocaust, and both employ the vehicle of the animals in their representation. The survival narrative and the representation of Holocaust make the most significant use of the 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animals. Animals are an allegory for humans in those absurdly and extremely hard si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it is almost impossible for humans not to be animals in those situations. The tiger with his life force in Life Of Pi is no other than Pi in absolute hunger and extreme fear, since the power of animalistic sensation hits the human character’s sense organs. In Beatrice and Virgil animals are the vehicle for the tenor of the Jews in the Holocaust, but the relation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is so obscure and confused that it is almost unclear whether the novel is about animals or Holocaust. The confusion creates a certain common zone. In both novels, one becomes the other, a man becomes an animal, and vice versa. For Gilles Deleuze via Baruch Spinoza, figurative languages are not a mere vehicle for the the hidden, already fixed meaning. What matters is not the interpretation involving the signified but the intensity of the signifier itself. The latter immediately touches the reader’s or viewer’s senses before their cognitive faculties begin to work, thus one being is metamorphosized into another. It is not that humans are like animals, but that they are animals themselves.
목차
머리말
Ⅰ. 난파 생활 및 홀로코스트: 재현의 문제
Ⅱ. 사건의 재현에서 동물의 존재로
Ⅲ. 다시 재현의 문제로: 변신을 생성하는 감응
Ⅳ. 다시 재현의 문제로: 공통의 영역 만들기
Ⅴ. 쿳시와 마텔: 동물 되기, 알레고리, 목소리와 언어
맺음말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미문학교육 제27집 3호 목차
- <내러티브와 영어교육> 특집호 서문
- 메타내러티브로서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의 서사구조 분석
- [서평과 단상] AI 시대의 영어와 내러티브
- <서평과 단상> 서문
- [서평과 단상] 안정과 공정을 위한 2028 대학입시제도 개선9안) 공청회를 다녀와서...
- [서평과 단상] 영어능력 수준 저하에 대한 소고
- [서평과 단상] 인간 경험의 탐색을 위하여
- [서평과 단상] 수능 영어 절대평가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암울한 현실
- [서평과 단상] 입체적인 언어 소양의 함양과 영어로의 전회
- <얀 마텔> 연구 논문 서문
-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와 『베아트리스와 버질』
-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평가의 이론적 근거
- 뇌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영어 내러티브 읽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어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텍스트를 통한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력 평가
- 영미 문학교육의 새 모델
-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어린이 영어교육
- 비트코인 내러티브
- 한국의 얀 마텔 연구 현황과 전망
- “더 나은 이야기”를 향한 상상력의 항해
- 동물, 그리고 믿음
- 홀로코스트와 기억의 패러독스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