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ablishing Theoretical Foundation for Narrative Assessment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 발행기관
- 한국영미문학교육학회
- 저자명
- 이용원(Yong-Won Lee) 강석진(Sukjin Kang) 윤희철(Hee Cheol Yoon) 강규한(Gyu Han Kang) 이종우(Jong Woo Lee)
- 간행물 정보
- 『영미문학교육』제27집 3호, 11~3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 narrative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t should also be regarded as an essential component of English language assessment. To create assessment items/tasks and utilize them for teaching,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define the purpose of assessment and the assessment construct, build an assessment system, and validate it through a rigorous procedure of evidence collection and evaluation. The key lies in solidif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ssessment before designing and creating a series of assessment tasks. This paper starts with the role of narrative in English language teaching, discusses linguistic creativity, and examines the purpose and application of narrative-based English language assessment. In addition, this paper investigates how narrative can be used for assessment in practice in English education. As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itivity have become established as core competencies in the English curriculum reform, the use of narrative is expected to receive increasingly more attention. In particular, the creative aspect of language skills such as forming and understanding new sentences should be emphasized.
목차
Ⅰ. 서론: 오늘날 왜 내러티브이며, 내러티브 평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가?
Ⅱ.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의 역할
Ⅲ. 언어의 창의성과 영어교육
Ⅳ. 내러티브 기반 영어 평가의 목적과 구인
Ⅴ. 영어교육에서 실제로 내러티브를 어떻게 평가에 활용할 것인가?
Ⅵ. 결론 및 제언
인용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미문학교육 제27집 3호 목차
- <내러티브와 영어교육> 특집호 서문
- 메타내러티브로서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의 서사구조 분석
- [서평과 단상] AI 시대의 영어와 내러티브
- <서평과 단상> 서문
- [서평과 단상] 안정과 공정을 위한 2028 대학입시제도 개선9안) 공청회를 다녀와서...
- [서평과 단상] 영어능력 수준 저하에 대한 소고
- [서평과 단상] 인간 경험의 탐색을 위하여
- [서평과 단상] 수능 영어 절대평가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암울한 현실
- [서평과 단상] 입체적인 언어 소양의 함양과 영어로의 전회
- <얀 마텔> 연구 논문 서문
- 얀 마텔의 『파이 이야기』와 『베아트리스와 버질』
- 영어교육에서 내러티브를 통한 평가의 이론적 근거
- 뇌 인지과학적 관점에서 본 영어 내러티브 읽기 교육에 대한 비판적 고찰
- 영어 저성취 대학생의 특성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내러티브 텍스트를 통한 창의성과 비판적 사고력 평가
- 영미 문학교육의 새 모델
- 내러티브 텍스트를 활용한 어린이 영어교육
- 비트코인 내러티브
- 한국의 얀 마텔 연구 현황과 전망
- “더 나은 이야기”를 향한 상상력의 항해
- 동물, 그리고 믿음
- 홀로코스트와 기억의 패러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