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후기 인골의 체질인류학 및 골화학 분석을 통한 질병과 식생활 연구
이용수 75
- 영문명
- Investigation of Pathological and Dietary Characteristics of Human Remains in the Late Joseon Period Using Physical Anthropological Analysis and Stable Isotope Analysis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민찬홍(Chanhong Min) 최경철(Kyungcheol Choy)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7號, 273~31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글의 목적은 조선시대 분묘 유적에서 출토된 인골 자료를 분석하여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사람들의 주요 질병과 식단을 유추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경기지역 분묘 유적에서출토된 50구의 조선 후기 인골 자료를 대상으로 체질 인류학적 분석 및 골화학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체질 인류학적 검토를 통해 연구 대상의 체질적 특성과 주요 질병흔을 살펴본 결과 분석 인골의 대다수가 50세 미만에 사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주요 병리흔으로는 골관절염, 충치, 에나멜형성 부전증이 전 연령대에 걸쳐 높은 빈도로 확인되었다. 연구에서는 위 결과를 기반으로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사람들의 생업 환경에 대한 단서를 얻을 수 있었고, 열악했던 구강 관리 양상과 아동기 영양상태를 유추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골화학적 분석을 실시하여 당시 사람들이 주식으로 이용하였던식재료를 추론하였다. 그 결과 쌀, 보리, 콩 등 C3식물이 주요 식자원으로 활용되었으며 동물성 단백질은 주로 가축과 어류를 통해 섭취했던 것을 확인했다. 또한 통계분석 결과에서는 개체의 성별, 연령, 신분, 출토 유적과 관계없이 유사한 식단을 섭취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사람들에게서 소수의 재배 작물에 의존하는 전형적인 농경사회의 식생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는 조선 후기 농업 생산성의 향상과 유통의 활성화 등에 따른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시대 분묘에서 출토된 인골 자료가 당시의 질병과 식생활 양상을 가늠하는 중요한 지표 자료로 이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ease and diet of people in the Gyeonggi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chemical analysis of human remains from an archaeological context. The human remains contain information on individual health and diet. In this study, we applied physical anthropological analysis and stable isotope analysis to understand the disease and diet of individuals from the late Joseon period. As a result, the physical and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group were summarized into three. First, the life expectancy of the study group was under 50 years. Second, osteoarthritis was evenly high in the study group regardless of gender and age. Third, Dental caries and enamel hypoplasia were identified with high frequency in the study group.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inferred high labor intensity, poor dental care, and childhood nutritional imbalance of people in the Gyeonggi area in the late Joseon Period. Next, the dietary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group were summarized into two. First, the study group’s diet was highly dependent on C3 plants. Second, the statistical comparison showed no difference in diet between several factors (Sex, age, disease, burial type, excavated site). The results showed that dietary variations in the late Joseon Period were small, depending on several domesticated crops. And this dietary pattern is very common in an agricultural society that relies on a small number of cultivated crops.
목차
Ⅰ. 서론
Ⅱ. 인골 분석을 통한 질병·식생활 연구
Ⅲ. 연구 대상 및 방법론
Ⅳ. 출토 인골의 체질 인류학적 분석 결과
Ⅴ. 출토 인골의 골화학적 분석 결과
Ⅵ. 조선 후기 경기지역 사람들의 건강상태와 식생활
Ⅶ.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산학보 第127號 목차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를 받치는 토끼 조형의 맥락과 함의
-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 복합문화유산으로서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 고구려 초기 漢式 官名의 수용과 역할
- 古代 滿洲의 ⽔路交通과 松花江
- 강화 정족산성진의 성격과 역사적 가치
- 6세기 신라의 역역동원체계 정비 과정
- 최근 소개된 두 건의 고구려 유민 묘지명 자료
- 조선 전기 군역 代⽴의 유형과 代⽴制 정비
- 역사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마한사 서술 분석
-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와 임진왜란
- 조선 후기 인골의 체질인류학 및 골화학 분석을 통한 질병과 식생활 연구
- 초원(蕉園) 김석신(⾦碩⾂)의 생애와 회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