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마한사 서술 분석
이용수 40
- 영문명
- Review of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Mahan in history textbooks and Curriculum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조영광(Yeongkwang Jo)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7號, 187~21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마한사는 오늘날 대한민국과 한민족의 정체성과 관련하여 역사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음에도불구하고 관련 자료의 부족과 그로 인한 무관심으로 교과서에서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마한을단독으로 다룬 교과서는 존재하지 않고 삼한의 일부로 포괄하여 서술하고 있다. 해방 직후 나온 최초의 중등 한국사 교과서는 적지 않은 비중을 삼한사에 할애하였고, 이후 제3차 교육과정기에는 서술분량이 획기적으로 늘어나기도 하였다. 그러나 관련 내용은 주로 삼국지 동이전을 그대로 옮긴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거기에 관련 고고 자료에 대한 소개 등도 사라지면서 내용의 양과 질은모두 퇴보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향후 역사 교과서의 마한사 서술을 정상화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과 그 원인을 제대로인지하고 고쳐나가야 한다. 특히 지역사로서 마한의 성격과 존재 양상 등은 최근 연구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내용으로 꾸려져야 한다.
영문 초록
The history of Mahan is historically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identity of today's Republic of Korea and the Korean people. Nevertheless, the lack of relevant materials and the resulting indifference are treated lightly in textbooks. Textbooks dealing with Mahan alone do not exist, but are described as part of Samhan. The first Korean history textbook published immediately after independence devoted a significant portion to history of Mahan. During the 3rd Curriculum period, the amount of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ahan in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Most of the content was copied directly from the Sanguozhi dongyizhuan. In addition, as the introduction of related archaeological materials was reduced, bo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content deteriorated.
In order to normalize the description of the history of Mahan in history textbook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perly recognize the problems and their causes and correct them. In particular, the status and existence of Mahan as a regional history should actively reflect recent research results and be written in content that everyone can accept.
목차
Ⅰ. 머리말
Ⅱ. 현행 중등 역사 교과서의 마한사 서술
Ⅲ. 역대 중등 역사 교과서의 마한사 서술
Ⅳ. 역대 교육과정 속의 마한(삼한) 관련 내용 검토
Ⅴ.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산학보 第127號 목차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를 받치는 토끼 조형의 맥락과 함의
-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 복합문화유산으로서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 고구려 초기 漢式 官名의 수용과 역할
- 古代 滿洲의 ⽔路交通과 松花江
- 강화 정족산성진의 성격과 역사적 가치
- 6세기 신라의 역역동원체계 정비 과정
- 최근 소개된 두 건의 고구려 유민 묘지명 자료
- 조선 전기 군역 代⽴의 유형과 代⽴制 정비
- 역사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마한사 서술 분석
-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와 임진왜란
- 조선 후기 인골의 체질인류학 및 골화학 분석을 통한 질병과 식생활 연구
- 초원(蕉園) 김석신(⾦碩⾂)의 생애와 회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 지역문화유산을 활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군산대학교 박물관 ‘소원배 만들기’를 중심으로-
- 경주지역 신라사찰 출토 매납토기의 용도와 특징
- 일제강점기 조선고적조사사업과 한국고고학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