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이용수 55

영문명
Research on Conservation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Ganghwa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김우웅(Woowoong Kim)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27號, 31~7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31
8,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정족산성진은 정족산사고를 수호할 목적으로 조선중기 이후 설치된 중요한 국방시설로, 2008~ 2009년 발굴조사를 통하여 19세기 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정족산성진」 지도에 표현된내사, 진사, 신당, 포량고, 하인청 등 대부분의 건물지와 석축, 담장시설, 배수시설 등을 확인하였다. 본고에서는 정족산성진지의 자연·지리 환경, 고고 역사 환경, 주변 문화재 현황, 발굴조사 및 유구 정비 등 현황 및 여건 분석하고, 국·내외 건축유적 보존 및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보존 및 활용의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유구의 성격도 명확하고 그 상태도 양호하여 각 건물지별 용도에 따른 평면형태가 명확하게 확인되고 있으므로 활용을 고려하여 복원과 정비 대상 건물지를 선정하고 복원·정비 및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우선적으로 복원·정비 대상을 선정하기 위하여 1)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 일치 여부, 2) 평면형태가 명확하여 상부구조 고증이 가능한 것, 3) 활용성이 큰 것, 4) 중심 건물지로 상징성이 있는것, 5) 전등사 등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을 것 등 선정기준을 정하여 복원·정비 대상 건물지를 선정하였다. 복원 대상은 진사, 동·서 포량고, 대문이며, 정비 대상은 내사, 북 포량고1, 북 포량고2, 신당, 하인청, 건물지8, 건물지9 등 건물지와 담장시설, 배수시설, 주변 정비 등이다. 복원 대상인 진사는 정족산성진지의 중심건물로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이 일치함은 물론 평면형태도 명확하고, 상징성, 호국역사관으로의 활용성 등이 뛰어나므로 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문은 발굴조사 결과와 문헌기록이 일치함은 물론 평면형태도 명확하고 주진입부에 위치하여 상징성이 있으므로 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동·서포량고는 호국역사관으로의 활용성이 뛰어나므로복원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정비 대상 건물지 중 「정족산성진」 지도에 표현된 건물지는 전체적으로 평면형태와 초석 자리가명확하므로 ‘현상보존+초석노출’ 방법으로 정비하며, 발굴조사에서 확인되었으나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는 건물지9(정족산성진 이전의 정족창으로 추정)는 전체적으로 복토하여 현상보존함으로써정족산성진 건물지와 차별화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건물지8(정족산성진 이전의 정족창으로 추정) 은 문헌기록에 보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현상보존+초석노출’ 방법으로 정비하여 복원 대상인 동포량고와 중첩된 모습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담장시설은 정족산성진지의 영역 및 진지 내의 공간을인지할 수 있도록 발굴조사 당시의 높이 정도로 정비한다. 진사, 동·서 포량고 등 복원건축물은 호국역사관으로 활용한다. 호국역사관은 정족산성, 정족산사고, 정족산성진 및 전등사의 역사, 발굴조사 기록 및 유물 전시, 수장 공간 등으로 활용한다. 향후정족산사고에 ‘조선왕조실록 정족산사고본‘ 원본의 반환이나 영인본의 보관을 가정한다면, 현재 정족산사고에 보관 중인 ‘『묘법연화경』 목판’ 104매를 이전·보관할 수 있을 것이다. 진사 앞마당은각종 문화행사 장소로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유적을 찾는 관람객을 위한 관람로 조성 및 안내판 설치로 유적으로의 접근성 강화, 휴게 및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설치, 각종 매체를 활용한 발굴성과 홍보 등 활용은 쉽고 작은 것부터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정족산성진지 발굴유구에 대한 고증 심화연구와 발굴조사 및 학술조사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국가사적 지정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s an important defense facility establish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Jungjoksan sago.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in 2008~2009, most of th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Jinsa, Sindang, Poryanggo, and Heincheong, as well as stonework, fence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conditions of the natural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the archaeological historical environment, the status of surrounding cultural properties, excavation survey, and maintenance of the ruins, and analyzed the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cases of domestic and foreign architectural ruins. Since the nature of the ruins is clear and the condition is good, the plan form according to the use of each building site is clearly identified. Therefore, we selected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arget building site considering the utilization and proposed restoration, maintenance and utilization plan. First of all, in order to select the object of restoration and maintenance, the site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was selected by setting the selection criteria such as 1) whether the results of the excavation survey match the document record, 2) the planar shape is clear and the superstructure can be checked, 3) the usability is large, 4) the symbolism as the central building site, and 5) the surrounding landscape such as Jeondeungsa Temple is not damaged. The restoration targets are Jinsa, Eeast·West Poryanggo, and the main gate, and the maintenance targets ar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North Poryanggo 1, North Poryanggo 2, Sindang, Haincheong, Building Site 8, Building Site 9, as well as fence facilities, drainage facilities, and surrounding maintenance. Jinsa, the object of restoration, is the central building of the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and was selected as the object of restoration because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and the document records are consistent, the flat form is clear, the symbolism is excellent, The main gate was selected as a restoration target because it has a clear plan shape as well as a coincidence between the excavation survey results and the document records, and because it is located in the main entrance and has symbolism. East·West Poryanggo was selected for restoration because it has excellent usability as a patriotic history museum. Among the building sites subject to maintenance, the building site express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is an important defense facility established after the mid-Joseon Dynasty for the purpose of protecting the Jungjoksan sago. Through the excavation survey in 2008~2009, most of the building sites such as Naesa, Jinsa, Sindang, Poryanggo, and Heincheong, as well as stonework, fence facilities, and drainage facilities, were identified on the map of 『Jeongjoksanseong Fortress Site』 has a clear planar shape and cornerstone Reorganized using the “Phenomena Preservation + Stone Exposure” method. Building site 9 (presumed to be a Jeongjoksan Seongjin before Jeongjoksan Seongjin) was intended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Jeongjoksan Seongjin building site by restoring the overall soil and preserving the phenomenon, which was identified in the excavation survey and was not seen in the literature record. However, building site 8 (presumed to be a Jeongjoksan Seongjin before Jeongjoksan Seongjin) was reorganized with a “Phenomena Preservation + Stone Exposure” method, even though it was not seen in the literature record, to show the overlapping appearance with the east poryanggo, which is the target of restoration. The fence facility shall be maintained to the height at the time of the excavation survey so that the area of the JeongjoksanSeongjin site and the space within the site can be recognized.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족산성진지의 현황 및 여건 분석
Ⅲ. 건축유적의 보존 및 활용
Ⅳ.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우웅(Woowoong Kim). (2023).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백산학보, (), 31-76

MLA

김우웅(Woowoong Kim).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백산학보, (2023): 31-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