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Water Transportation of Ancient Manchuria and Songhua River
- 발행기관
- 백산학회
- 저자명
- 이승호(Seungho Lee)
- 간행물 정보
- 『백산학보』第127號, 125~1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만주 지역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며 흐르는 松花江 수운에 주목하여, 부여와 고구려· 물길·발해 등 고대 만주의 諸세력이 이러한 강의 ⽔路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 검토하였다. 먼저북류 松花江 중류 유역에서 성립·발전한 부여를 중심으로 해당 시기 松花江 수운의 의미를 짚어보았다. 嫩江 유역에 위치한 ⽩⾦寶·漢書 유적, 동류 松花江 유역의 望海屯 유적과 索離溝-慶華城 址 유적, 북류 松花江 유역의 楡樹 ⽼河深 유적 등 부여 문화와 관계된 주변의 ⽔邊 유적들을 검토하고, 이들 유적과 부여 문화의 관계가 松花江-嫩江 ⽔路를 통해 형성되고 연결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古代의 만주 지역 수로교통 실례로서 『魏書』 勿吉傳에 전하는 ⼄⼒⽀의 사행길을 검토하였다. 당시 ⼄⼒⽀의 사행에 松花江-嫩江-洮兒河 수로가 활용되었던 사실에 주목하고, 당시 이러한 수로를 통해 대규모 물자 운반이 가능했음을 확인하였다.
松花江 수운은 고대 부여의 지배 영역을 이어 주던 교류망의 핵심이었으며, 고구려와 북방의 유목·수렵 세력을 연결하였던 교통로였고, 勿吉이 국제 사회로 나아가는 창구이기도 하였다. 그리고이처럼 松花江을 중심으로 펼쳐진 북방 수운 교통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통합적으로 운용하였던최초의 국가는 발해였다고 볼 수 있다. 고대 嫩江-松花江-⿊⿓江 수로는 만주 각 지역을 연결하는교통로이자 물자 유통의 혈맥이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the water transportation of the Songhua River(松花江), which flows across the Manchuria region, and analyzes how ancient Manchurian states such as Buyeo, Goguryeo, Wuji (勿吉), and Balhae(渤海) used the waterway of the Songhua River.
First, the water transport traffic of the Songhua River during that period was examined, focusing on Buyeo, which was founded and developed in the middle basin of the Songhua River flowing to the north. Baijinbao(⽩⾦寶)·Hanshu(漢書) ruins located in the Nunkjang(嫩江) basin. The wanghaitun (望海屯) ruins and the suoligou(索離溝)-Qinghua(慶華) ruins in the east-flowing Songhua River basin. Laoshu(楡樹) Laoheshen(⽼河深) ruins in the north-flowing Songhua River basin. The relationship between ruins related to the Buyeo culture and the river that flowed around them was analyzed. This suggested the possibility that these ruins and the Buyeo culture were formed and connected through the Songhua River-Nunkjang waterway.
And, as an example of water transportation in the ancient Manchurian region, the travel route of the Eulyeokji(⼄⼒⽀) reported in Wei Shu(魏書) Wuji Biography was reviewed. We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Songhua River-Nunkjang-Taoer River(洮兒河) waterway was used in the travel of Eulyeokji according to the records, and confirmed that large-scale transportation of goods was possible through this waterway.
Songhua River water transportation was the core of the transportation network that connected the ancient Buyeo dominions. This was a transportation route that connected Goguryeo with the nomadic and hunting countries of the north, and was also a window through which Wuji advanced i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Balhae was the first country to organically connect and integrate northern water transport centered on the Songhua River. The ancient Songhua River-Nunkjang-Heilongjiang(⿊⿓江) waterway was a transportation route connecting each region of Manchuria and a blood vessel for material distribu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嫩江-松花江-⿊⿓江 수로와 夫餘
Ⅲ. 洮兒河-嫩江-松花江 수로와 勿吉
Ⅳ. 北流-東流 松花江 수운의 운용과 ⾼句麗·渤海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백산학보 第127號 목차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를 받치는 토끼 조형의 맥락과 함의
-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관리 및 활용 방안 연구
- 복합문화유산으로서 강화 정족산성진지의 보존 및 활용 방안 연구
- 고구려 초기 漢式 官名의 수용과 역할
- 古代 滿洲의 ⽔路交通과 松花江
- 강화 정족산성진의 성격과 역사적 가치
- 6세기 신라의 역역동원체계 정비 과정
- 최근 소개된 두 건의 고구려 유민 묘지명 자료
- 조선 전기 군역 代⽴의 유형과 代⽴制 정비
- 역사 교과서와 교육과정의 마한사 서술 분석
- 메이지시기에 발행된 조선지도와 임진왜란
- 조선 후기 인골의 체질인류학 및 골화학 분석을 통한 질병과 식생활 연구
- 초원(蕉園) 김석신(⾦碩⾂)의 생애와 회화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