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형태의 변화와 특징

이용수 59

영문명
A research on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of Bronze age in Youngnam region S.Korea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정대봉(Dae Bong Jung)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3권, 25~59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29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반도 남부지역 청동기시대 연구는 짧은 시간 내에 눈부신 성과를 거듭해 왔지만, 대부분의 성과는 유물(토기)을 위주로 한 형식화·양식화에 따른 편년연구에 집중되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형식변화 하거나 조합을 이루어 ‘양식’이 되는 유물에 비해 주거형태의 변화는 매우 보수적이며 기후, 환경, 사회경제체제 혹은 기술의 발전이나 인간의 기호 등과 같은 인문·사회·지리적 복합요인에 의해 서서히 변화하므로 형식학적 방법이나 양식론과 같은 전통 고고학적 방법론으로 이해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방법은 주거형태의 개념 및 용어정리, 자료의 검토, 주거형태 변화의 특징과 고고학적 含意 등에 기반하였다. 우선 현재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청동기시대 이른 시기의 주거형태를 망라하여 일관된 개념과 정의를 통해 典型을 설정한 다음, 미사리식주거지1·2, 가락동식주거지1·2, 관산리식주거지1·2·3, 先검단리식주거지 등으로 대별하여 특수성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대상지역 내 대표 유적을 선정하여 변화과정을 고찰하였다. 끝으로 각 주거형태별 변화양상을 종합하여 고고학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 결과, 평면형태변화, 노지의 분할 및 복수화 현상 등은 세대공동체의 증가로 이해하였고 노지의 구조는 이주민 집단에 포함된 전통의 잔존으로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기 超세장방형주거형태(관산리식주거지3)는 고위도 지역에서 나타나는 농업과 어업, 사냥, 채집 등 복합적인 정착형경제활동에 의해 유지되는 초기 정착마을에서 보이는 롱하우스(longhouse) 문화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이를 우리 선사문화의 ‘보편성’으로 인식하였다.

영문 초록

A research on Bronze age in S.Korea has made remarkable progress, but most of the achievements are confined on recording chronologically by pottery. It is so difficult to understand transition in housing type more than pottery because it is so conservative to change compared with pottery. Also it is changing by climate, environment, economic structure, development of technology, human preference and so on. The research method is order by fundamental concept of housing type of early Bronze age in S.Korea, case review,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and implication of archaeology. First of all, to set up typical housing feature of four types, and making a division for Misari, Garakdong, Kwansanri and Heunamri type. In sequence, to observe transition and feature of all housing type in Youngnam region especially the middle and upper streams of the Nakdonggang River, inland area, the southwestern area and south-east coast. The housing type of Misari demonstrate for transition of floor plan, number of fire pit and structure. The housing type of Garakdong demonstrate for becoming longer and disappearing of foundation stone. The housing type of Kwansanri also demonstrate for disappearing stone fire pit and standardizing of wooden column. On the other hand, housing type of Heunamri demonstrate for reduced fire pit and becoming re-smaller floor plan. And it turns to type of Gumdanri that is the latter part of Bronze age in the southeastern region. In conclusion, I analyzed for transition and feature in housing type as characteristics of early Bronze age in the Korean Peninsula also as universality of hunting-gathering society. In other words, the appearance of early Misari type is characteristics for deportation and settlement especially Korean Peninsula while type of Kwansanri is understood for universality by being expanded floor plan, division of fire range, structure transition, standardization of intercolumniation, that is also understood longhouse culture where living high latitude area. Popularly, in such society is understood as a complex incipient agriculture and hunting-gathering society. This research regard that society as universality of prehistoric culture of Korean Peninsula. And a pull-factor of transition in housing type occurs by complex causes such as population growth, development of technology, natural environment change, livelihood strategy and so on.

목차

Ⅰ. 머리말 및 연구방향
Ⅱ. 시·공간적 범위 및 용어정리
Ⅲ. 자료의 검토
Ⅳ. 조·전기 주거형태 변화의 특징과 含意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대봉(Dae Bong Jung). (2023).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형태의 변화와 특징. 고고광장, (), 25-59

MLA

정대봉(Dae Bong Jung). "영남지역 청동기시대 조·전기 주거형태의 변화와 특징." 고고광장, (2023): 25-5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