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종언기 다뉴세문경 매납방식에 대하여

이용수 23

영문명
A Study end of Tachukyo-bronze mirror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후지타 겐지(FUJITA Kenji)(藤田憲司)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33권, 83~139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2.29
9,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다뉴경 후반 단계의 다뉴세문경은 대부분 한반도에 분포하는데, 충청남도에서 전라북도가 그 분포 중심지이다. 최근 전주시 북서부에서 다뉴경을 공반한 복수의 분묘군이 발굴되어 기존 연구와는 다른 시각에서 매장 당시 사용한 유물의 의미를 검토할 수 있게 되었다. 경사지 묘광 배치나 묘광 바닥 양상으로 두위(頭位)를 추정하여 「부장」 유물의 종류와 출토 위치·상태를 정리해 보면 유물에 따른 일정한 배치 경향이 인정되고 동경 취급에 있어서 현저한 변화를 인식할 수 있다. 「부장」 토기는 관 내외에 관계없이 발치에 정립한 상태로 놓여진 경우가 많고, 관내에 「부장」된 동검은 선단이 머리를 향하는 사례가 있다. 동경 「부장」 형태는 다양한데, 완형의 동경을 머리 또는 가슴이나 배에 부장한 사례, 관 내외에 세운 사례 외에, 결손 상태의 동경, 또는 크게 파쇄된 동경을 부장자 가까이 둔 것, 작게 분쇄한 동경을 목관 위에 뿌린 사례 등이 있다. 이러한 유물들은 출토 상태로 보아 부장된 유물과 장송 행위에 사용된 유물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장송 행위로 보이는 파쇄살포는 동경과 동검·동사(銅鍦)·토기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다뉴경의 종언 단계, 마한 지역 사회에서는 동경 취급 방식이 크게 변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동경에 대한 가치관 변화로 유추되고 원삼국 시대 경상도 지역과 대조적으로 마한 지역에서 동경 부장 관습이 단절되는 하나의 요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영문 초록

Most of the latter stages of the Tachukyo-bronze mirrors are distributed one the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the last stage of Tachu-saimonkyo-bronze mirrors are distributed mainly on Chungcheongnam-do to Jeollabuk-do. In recent years, multiple tombs containing last stage of Tachukyo have been excavated in the Jeonju-city area, making it possible to examine the meaning of burial objects used during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before. The head position can be estimated from the placement of grave on slope,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ottom of the grave. When sorting out types of “grave goods” excavated locations and their conditions, a certain tendency to the placement of “grave goods” can be observed, and some “grave goods” are seen to have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handling. “Grave goods” pottery pieces ware placed upright at the feet whether inside or outside the coffin, and bronze swords ware placed inside coffin with the tip facing toward the head. The state of burial of mirrors varies. Some have complete mirrors placed near the head or on the body, while others are propped up inside or outside the coffin. In addition, mirrors with parts missing or broken into large pieces were placed near bodies, and mirrors shattered into smaller pieces were scattered over coffins. These “grave good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those that were buried and those that used for funerary rituals,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y were excavated. The act of crushing and scattering, which is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funerary rituals, can also be seen on mirrors, bronze swords, copper glazes, and earthenware. At the final stage of the Tachukyo-bronze mirror, the way mirrors are handled has changed dramatically in the world of Mahan era. It is thought that the value of mirrors has changed significantly. In contrast to the Gyeongsang-do region during the Proto Three Kingdom Period, this may have been one of the reasons why the custom of burial with mirrors disappeared in the Mahan region.

목차

1. 머리말-한반도 다뉴경 연구의 경향
2. 원장동 유적군(가칭)의 개요
3. 분류방법과 결과
4. 「부장」 유물과 장송행위의 유물
5. 동경 취급의 변화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후지타 겐지(FUJITA Kenji)(藤田憲司). (2023).종언기 다뉴세문경 매납방식에 대하여. 고고광장, (), 83-139

MLA

후지타 겐지(FUJITA Kenji)(藤田憲司). "종언기 다뉴세문경 매납방식에 대하여." 고고광장, (2023): 83-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