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elation Between Recast and Uptake: A Longitudinal Study in KSL Context
이용수 0
- 영문명
- 고쳐말하기와 학습자 반응의 관계: KSL 맥락에서 의 시‧종단적 연구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이다미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1호, 191~2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원어민 화자의 수정적 피드백과 학습자 반응(uptake)의 관계를 7개월간의 시‧종단적 자료를 통해 검토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고쳐말하기(recasts)의 언어적 초점이 학습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학습자의 유창성이 향상됨에 따라 원어민 화자의 고쳐말하기에 대한 학습자 반응이 변화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었다. 본 연구는 한 명의 한국인 원어민 화자와 두 명의 영어 화자의 대화를 2주에 한 번 7개월 동안 관찰, 녹음하여 이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발음 오류에 관한 고쳐말하기가 조사 오류 고쳐말하기보다 더 많은 학습자 반응(62% vs. 36%)과 수정(47% vs. 24%)을 이끌어 냈다. 한 학습자의 한국어 유창성이 향상됨에 따라 조사 오류 고쳐말하기는 점진적으로 더 많은 학습자 반응과 수정을 불러 일으켰다. 본 연구 결과는 고쳐말하기의 길이와 학습자가 집중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자원 (attentional resources)의 제약으로 설명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1. Introduction
2. Research Background
3. Method
4. Results
5. Discussion
6.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논쟁 담화 전략 연구
- Relation Between Recast and Uptake: A Longitudinal Study in KSL Context
- 최적성 이론을 통한 외래어 표기법의 재해석
- 모바일 기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 쓰기 평가에서 채점 특성에 대한 피드백이 채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Integrating Assessment in a College-Level Korean Heritag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재의 중국어 번역 방법 연구
-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과정 중 도약과 회귀 비교
- 예비 한국어 교사의 모의수업 연구
- 한국어의 ‘하-’와 관련된 조어의 한 방식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