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의 ‘하-’와 관련된 조어의 한 방식에 대하여
이용수 0
- 영문명
- One Type of the Word-formation related to ‘ha-’(하-) in Korean
- 발행기관
- 이중언어학회
- 저자명
- 김미연 서종학
- 간행물 정보
- 『이중언어학』제61호, 31~4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rgue for two purposes. One is to find a type which a root is precede element of ‘x하-’. The other is assert that ‘하-’ is a word and ‘x하-’ is a compound word. In other words, we try to reveal that ‘하-’ can be integrated into the ‘verb root’, such as shown in ‘비롯하-’. Through this, we claim that ‘하-’ is classified as the ‘word’. The first reason is to reconsider the double way that the one morpheme is classified differently as the suffix or the word. Another reason is that it is hard to classify ‘시키-, 드리-’ which are replaced ‘하-’ as the suffix. In this article, for this, we used the synchronic way and diachronic way together. We can explain briefly a grammar of ‘하-’ in ‘x하-’ and ‘x를 하-’ by this assertion.
목차
1. 서론
2. ‘하-’와 관련된 조어의 한 방식
3. 합성어 ‘x하-’
4. 결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학습자의 논쟁 담화 전략 연구
- Relation Between Recast and Uptake: A Longitudinal Study in KSL Context
- 최적성 이론을 통한 외래어 표기법의 재해석
- 모바일 기반 한국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및 요구 조사
- 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 쓰기 평가에서 채점 특성에 대한 피드백이 채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Integrating Assessment in a College-Level Korean Heritage Curriculum in the United States
-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의 화용 정보 기술에 대한 고찰
- 한국어 교재의 중국어 번역 방법 연구
- 한국인과 외국인 한국어 고급 학습자의 읽기과정 중 도약과 회귀 비교
- 예비 한국어 교사의 모의수업 연구
- 한국어의 ‘하-’와 관련된 조어의 한 방식에 대하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