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검찰의 형사사법정책의 현안과 과제

이용수 39

영문명
Current Issues and Problems of Criminal Justice Policy: An Analysis attempt on Luhmann's Systemtheorie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이창온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第35卷 第3號, 37~85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검찰개혁논의는 지난 수십년 동안 계속되어 왔으며 최근 몇 년 사이에는 소위 검찰개혁 입법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졌다. 그러한 입법은 소송법과 조직법률의 일부 개정이나 다른 기구의 설치를 통해서 사회공학적으로 형사사법체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관점 하에서 진행되었으나,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역사적, 구조적으로 형성되어온 형사사법체계를 일부 실정법의 입법적 변화만으로 수정하는 것은 극히 어렵다. Niklas Luhmann의 체계이론(die Systemtheorie)을 검찰 개혁입법에 적용해보면 그 이유를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우리 형사사법체계는 고소, 고발제도와 공판전예비증거조사절차인 강제수사절차를 전제로 하는 직권주의적 형사사법체계임에도그 하위 형사사법체계인 검찰에 대한 개혁입법들은 그러한 직권적 형사사법체계의 구조와 모순되거나 비체계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쇄효과나 예기치 못한 부작용의 파급효과를 낳게 되었다. 둘째, 체계의 변화를 의도하는 검찰에 대한 형사사법정책은 검찰 구성원들의 인센티브, 기대구조, 직업적 에토스와 사유양식 등을 파악하여, 실정법의 변화가 검찰 조직 구성원에게 가져올 심리, 사유, 정체성 등의 변화를 고려하여야 하였음에도, 입법 과정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았다. 소위 개혁입법들은 형사소송의 3대 이념을 조화롭게 달성하는데 필요한 고려들을 충분히 하지 못한 채, 종래 표준적 모델이던 준사법관 모델을 폐기하고, 검찰은 조직의 권력을 유지하고 확장하려는 권력기관이라는 권력모델의 관점에서 검찰의 권력을 분산하는 것에만 관심을 집중하였다. 또한 검찰의 권력을 분산하기 위한 도구로서 우리 형사사법체계와 정합되지 않는 영미법계 형사사법체계의 일부 요소들을 도입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그 입법이 표면적으로 의도한 목적들은 기존 형사사법체계와 상쇄되어 효과가 제대로 드러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우리 형사사법체계에신속성과 효율성의 저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검찰에 대한 형사사법정책학은 권력모델에 입각하여 법률 개정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사회체계 및 형사사법체계의 구조와 특성을 고려한 정합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이어야 하며, 기존 제도 내에서 검찰 구성원이 가지는 기대구조, 인센티브와 사유양식을 포함한 포괄적이고, 실증적이며 경험적인 연구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검찰 스스로도 중, 장기 형사사법정책을 우선순위로서 추진할 필요가있다. 그것은 장기적으로는 우리 실무를 원래의 준사법관 모델에 근접하도록 준사법관 모델의 강화를 지속적, 선제적으로 추진하는 것이며, 단기적으로는 개혁입법이 초래한 역기능을 해소함으로써, 우리 형사사법체계의 효율성과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A variety of suggestions on prosecution reform have continued to be made for the past several decades, and so-called prosecution reform acts have been passed on a large scale in recent years. Such legislation was carried out on the assumptions that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ould be changed through social engineering with partial revision of procedural and organizational laws or the establishment of new organizations, but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change the criminal justice system with changing some positive laws alone because the system has been formed historically and structurally in a complex modern society. The reason can be elaborated by applying Niklas Luhmann's system theory(die Systemtheorie) to prosecution reform legislation. First, our criminal justice system is deemed to be an inquistorial system which is premised on the pre-trial preliminary evidence investigation and gathering procedure having the complaint and accusation right of victims and the compulsory investigative authority of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at its heart, and the prosecution is a subsystem of criminal justice system, nevertheless, the reform legislation contradicts the structure of such criminal justice system of ours. Having been carried out in such an unsystematic way, it has resulted in a ripple effect of offsetting effects or unexpected side effects. Second, the criminal should understand the expectation structure, professional ethos, and reasoning style of the prosecution members. It should have taken into account changes in psychology, reasons, and identity of members in the prosecution service that would bring about by the reform legislation, This was not done at all through the legislation process all along. The so-called reform legislation failed to sufficiently weigh in on the way to harmoniously achieve the three objectives of criminal justice process. It discarded the quasi-judicial model of prosecutor, the longtime standard model, and focused only on distributing the power of the prosecution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power model which views the prosecution service as mainly pursuing its own social and political power. It has been trying to introduce some elements of the Anglo-American criminal justice system as a tool to disperse the power of the prosecutio, However they were not consistent with our criminal justice system. As a result, the ostensibly intended purposes of the legislation were offset by the reaction of existing criminal justice system, and not only did the effects not appear properly, but it also caused serious side effects in our criminal justice system, such as impeding speed and efficiency. Therefore, the study of criminal justice policy for prosecution should not only pursue law revision based on the power model, but should be a coherent and systematic stud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our social system and criminal justice system, and should study the expectations of members within the existing prosecution system, There is a need to focus on comprehensive, empirical research that includes incentives and modes of thinking of members of the system. The prosecution itself needs to pursue midto long-term criminal justice policies as a priority. In the long term, it is to continuously and proactively promote the quasi-judicial model by approaching our practices more closely to the ones in original model, and in the short term, it is to ensure th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of our criminal justice system by resolving the dysfunction caused by reform legislation.

목차

Ⅰ. 들어가는 글
Ⅱ. 형사사법체계와 형사사법정책의 정합성
Ⅲ. 형사사법체계의 하위체계로서의 검찰의 형사사법정책
Ⅳ. 나가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온. (2023).검찰의 형사사법정책의 현안과 과제. 형사정책, 35 (3), 37-85

MLA

이창온. "검찰의 형사사법정책의 현안과 과제." 형사정책, 35.3(2023): 37-8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