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독일 법무부의 형사정책

이용수 26

영문명
Criminal Policy of Ministry of Justice in Germany
발행기관
한국형사정책학회
저자명
최준혁
간행물 정보
『형사정책』第35卷 第3號, 87~11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독일 법무부의 형사정책’이라는 주제는 상당히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기 때문에 논의를 위해서 추가적인 설명 또는 범위의 한정이 필요하며 이때 고려할 요소는 장소로서의 유럽연합과의 관계, 주와 연방과의 관계이다. 시기와 관련하여, 논의는 최근 또는 현재의 형사정책으로 한정할 필요가 있다. 형사정책과 정치와의 관계와 관련하여, 안전을 강조하는 것은 어느 정권이든 마찬가지이나. 형사정책적인 중점을 어디에 둘 것인지에서 정당 간의 차이가 드러난다. 이 글에서는 최근 독일 법무부의 형사정책적 경향을 형법과 형사소송법의 개정에 기반하여 살펴본 결과로 다음의 견해를 제시하였다. 형사정책의 수단이 형법에 한정되지는 않지만 형법 및 형사소송법이 그를 위하여 법무부가 활용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수단임은 분명하다. 어떠한 형법을 목표로 하는지는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목표가 되는 사회가 무엇인지와도 연관되는데, 우리는 ‘보다 나은 형법’을 지향하여야 하며 그를 위한 방향은 보충성과 인도주의의 강화, 책임원칙의 철저화, 보안(예방)적 형사정책의 강화이다. 보다 나은 형법 및 올바른 형사정책을 위해서는 외국의 논의를 참고할 필요가 있는데, 독일의 상황은 우리에게아래의 시사점을 준다. 첫째, 형사정책은 정치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는 점은 분명한데, 독일의 대연정과 신호등 연정과 같이 형사분야의 구체적 쟁점에 대하여 우리의 정당들이 분명한 정책 차이를 드러내는지 의문이다. 둘째, 정책의 핵심은 신뢰성과 투명성인데 특히 형사정책에서는 투명성이 중요하다. 정책내용은 일반에게 널리 알려져야 하고 예측가능해야 하며, 그 의미 또한 분명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형사정책은 시민의 자유를 심각하게 침해할 수 있고 시민 또한 자신의 정당한 권리를 누리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를 위해서는 어떠한 입법을 하기 위한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하는 것은 물론, 그 입법의 효과가 어떠한지에 대한 평가도 할 필요가 있다. 충분한 논의와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은 입법은 당사자를 설득할 수 없다. 셋째, 실체법과 관련하여 입법자가 법정형의 상향을 추구하는 것만이 ‘규범적’이라고 이해할 수는 없다. 형법이 새로운 처벌조문의 도입 및 법정형의 상향 등을 통해 스스로 과도한 부담을 지고 그로 인해서 형사사법에게도 과도한 부담이 지워지는 상황은 피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e topic of “criminal policy of the German Ministry of Justice” can cover a wide range, so additional explanations or limits are needed for discussion: place and time. This article examined the recent criminal policy trends of the German Ministry of Justice based on the revision of the Criminal Law and Criminal Procedure Law and present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or better criminal law and correct criminal policy, foreign discussions need to be referred to, and the situation in Germany gives u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clear that criminal policy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s, and it is questionable whether our parties (and Ministry of Justice) reveal clear differences of Policy on specific issues in the criminal field, such as the German Grand Coalition and the Traffic Light Coalition. Second, the core of policy is reliability and transparency, especially in criminal policy. Content of policy should be widely known and predictable to the public, and its meaning should also be clear, otherwise criminal policies may seriously violate civil liberties and citizens may not enjoy their legitimate rights. For that,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horoughly prepare for legislation, but also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at legislation. Legislation without sufficient discussion and evaluation cannot persuade the parties. Third, in relation to substantial criminal law, it cannot be understood that only the legislator's pursuit of an upward statutory sentence is 'normative'. It should be avoided that the criminal law imposes an excessive burden on itself through the introduction of new punishment provisions and the increase of the statutory sentence, thereby placing an excessive burden on criminal justice.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독일의 범죄 상황
Ⅲ. 형사정책의 개별영역
Ⅳ. 맺으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준혁. (2023).독일 법무부의 형사정책. 형사정책, 35 (3), 87-115

MLA

최준혁. "독일 법무부의 형사정책." 형사정책, 35.3(2023): 87-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