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후기 궁중 선유락 복식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Clothing of the Court Dance "Seonyurak" in the Late Joseon Period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최윤희(Choi Yunhee) 이은주(Lee Eunjoo)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8집, 305~3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유락(船遊樂)의 설행 기록이 있는 12종의 『의궤』를 중심으로 선유락 무원별 복식의 종류와 변화양상, 특 징 등을 살펴본 것이다. 선유락은 인조반정 이후 지방에서 전승되어 오던 교방정재가 선상기(選上妓) 제도로 인하여 궁 중으로 유입된 것으로, 사행(使行)을 가는 관원들에게 베풀어진 지방공연이 궁중 연향에서 공연되면서 연행장소나 명칭, 공연내용 및 방식이 바뀌었다. 1795년 『원행을묘정리의궤』에 첫 공연 기록이 있으며 1829년 『기축진찬의궤』부터 「의 주」에 정식 정재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선유락 정재는 집사(執事)와 집노(執櫓), 내⋅외무원으로 구성되며 여령과 동기가 참여한다. 선유락 내⋅외무원은 여령정재 기본 복식인 견마기ㆍ남상ㆍ홍상에 황초삼과 수대(繡帶)를 착용하였다. 1795년 『원행 을묘정리의궤』에 선유락은 연행장소가 궁궐이 아닌 화성이었기에 관서지방의 교방정재인 배따라기(排打羅其)와 유사한 형태로 공연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 중 채선(彩船) 안에 동기가 배따라기의 소교(小敎) 역할을 하였으며 <봉수당진찬 도>에서도 동기가 채선 안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배따라기에서는 동기가 당하관의 교외동가시(郊外動駕時) 융 복인 홍색 철릭을 입었으나 선유락에서는 당상관 융복인 남색 철릭을 착용하는 차이를 보였다. 이후 1829년 『기축진찬 의궤』부터는 소교 역할하던 동기가 집노(執櫓)로 바뀌고, 동기가 하던 역할은 원무 밖의 집사(執事)가 맡아 무원의 역할 이 변하였다. 선유락 집사복식은 1795년 <봉수당진찬도>에서 동기가 입었던 당상관 융복을 1902년 마지막 연향까지 착용하였다. 선유락 집사는 1889년 임진진찬 때부터 1902년 11월 임인진연까지 철릭 받침옷으로 군복을 착용하였다. 그 이전에는 철릭의 받침옷으로 초록색 대창의를 착용했을 것으로 짐작된다. 선유락 집노복식은 1829년 『기축진찬의궤』에서는 연화대무 동기복식인 홍색 단의(丹衣)를 동기가 입었고, 1848년 『무신진찬의궤』때부터 초록색 당의(唐衣)를 착용하기 시작하여 대한제국 마지막 진연까지 이어졌으며 <임인진연도(04)>에 서 홍색 치마에 초록색 당의를 입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ype,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Seonyurak (船遊樂) dancers' clothing, based on 12 kinds of uigwe (royal protocols) that recorded Seonyurak performances. Seonyurak, which used to be handed down as gyobang jeongjae (courtesan's dance) in local areas, was introduced into the court due to the seonsanggi system after Injo’s Rebellion (仁祖反正). As a local performance presented to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going abroad as envoys, became performed in the royal court, the venue, name, and performance content and method of Seonyurak were changed. The first performance of Seonyurak was recorded in Wonhaeng eulmyo jeongri uigwe (園幸乙卯整理儀軌) in 1795, and it was adopted as an official court dance in Gichuk jinchan uigwe (己丑進饌儀軌) in 1829. The clothing of jipsa, assistants, has been recorded since Gichuk jinchan uigwe (1829) while that of donggi, young female dancers, has been recorded since Musin jinchan uigwe (戊申進饌儀軌, 1849). Therefore, the clothing of Seonyurak performers was settled in 1849, and it was passed down until 1902, which was the period of the Empire of Korea. It is possible that Seonyurak performed in 1795 was in a similar form to Baettaragi (排打羅其), another courtesan's dance performed in the northwestern region, since its performance venue was in Hwaseong, not the palace. Among them, it can be seen that donggi in chaeseon, a boat located in the center of Seonyurak performance, served as sogyo (a position of military officer) of Baettaragi, which was confirmed by Bongsudang jinchando (奉壽堂進饌圖). However, donggi performed in Baettaragi wore red cheollik, the uniform of danghagwan (officials of the lower terrace), while those in Seonyurak wore navy cheollik, the uniform of dangsanggwan (officials of the upper terrace). Later, since Gichuk jinchan uigue (1829), donggi playing the role of sogyo was changed into jipno, and the role of donggi was played by jipsa. The clothing of Seonyurak jipsa was a military uniform of danghagwan, which was worn by donggi in Bongsudang jinchando (1795) and lasted in the last banquet in 1902. Seonyurak jipsa had worn a military uniform as a support garment for cheollik since Imjin jinchan (1889) until Imin jinyeon (1902). Before that, it is presumed that they wore a green daechangui as a support garment for cheollik. As for the clothing of Seonyurak jipno, donggi wore a red danui (丹衣), the uniform of the Yeonhwadae dance, in Gichuk jinchan uigwe (1829), and later on they wore green dangui (唐衣) since Musin jinchan uigwe (1848) until the last banquet of the Empire of Korea. It is confirmed that they wore a red skirt and green dangui in Imin jinyeondo (1902). Donggi wore a red skirt and a yellow top in Musin jinchando (戊申進饌圖), Jeongjae jinchando (丁亥進饌圖), and Sinchuk jinchando (辛丑進饌圖) whereas they wore a green dangui only in Imin jinyeondo (壬寅進宴圖). Stand-by dancers of Seonyurak wore the basic clothing of court dance performed by yeoryeong (female entertain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윤희(Choi Yunhee),이은주(Lee Eunjoo). (2023).조선후기 궁중 선유락 복식 연구. 국악원논문집, (), 305-335

MLA

최윤희(Choi Yunhee),이은주(Lee Eunjoo). "조선후기 궁중 선유락 복식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3): 305-3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