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악공연장의 공연공간적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이용수 35

영문명
A Study on the Performance Spac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Gugak Performance Hall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정민경(Jung Minkyeong)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8집, 215~24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운영중인 국악공연장의 실태조사를 통해 공연장의 적합한 형태에 관한 검토와 논의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악공연을 원형에 가깝게 즐길 수 있는 공연 환경을 갖추어 국악공연의 발전을 도모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재 국악공연장으로 운영 중인 국내 4개 지역의 5개 국악원(국립국악원,국립민속국악원, 국 립남도국악원, 국립부산국악원, 서울돈화문국악당)을 대상으로 형태를 분석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 하는 국악공연장의 무대 형태는 대부분 프로시니움 형식이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형태 이기 때문과, 서양의 공연장 형식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둘째. 공연장의 객석형태는 의자가 배열되는 평면적 형상을 기준으로 국악공연장의 객석형태는 말굽형과 슈박스형 두가지 형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형 태가 가장 많이 나타나는 이유는 첫 번째로 공연장의 형태 중 가장 흔히 쓰이는 형태이기 때문이고, 두 번째는 공연자 의 육성을 전달하거나 음향적 특성을 고려했을 때 가장 효과적인 형태가 그것이기 때문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셋째. 서양의 무대와 달리 국악의 판에서는 관객의 참여를 위해 공연자와 관객과의 접촉과 거리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대부 분의 유형이 보는자와 노는자의 구별보다는 상호간의 관계가 동적, 입체적으로 결합되어있음을 고려해야한다. 넷째. 무대 와 객석의 규모, 평면적 시야각과 가시거리는 공연 유형에 따라 상이하게 나뉜다. 따라서 공연장에 따라 공연 유형을 특 정짓거나, 가변적으로 사용가능한 공연장을 제시해야할 것이다. 다섯째. 최신 공연 현황을 보면 기악, 판소리 등 작은 규 모의 공연장에서도 가능한 공연의 비중이 많다. 최근에 새로 생긴 국악공연장들(풍류사랑방, 돈화문국악당 공연장)의 규 모가 작은 이유로 추론해볼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야외국악공연장의 형태는 3가지유형으로 구분되는데, 남도국악원의 달빛마당과 같은 원형, 별빛마당과 같은 세로가 긴 직사각형, 그리고 부산국악원 야외마당과 같은 반원형 등이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ends to lay the foundation for reviewing and discussing appropriate type of performance hall through a survey on the current status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halls. Furthermore, it aim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gugak performances by establishing a performance environment where gugak performances can be enjoyed close to their original form. It analyzes the form of five gugak centers--National Gugak Center, National Folk Gugak Center, National Namdo Gugak Center, Busan National Gugak Center, and Seoul Donhwamun Gugak Center--which are currently operating as major gugak ven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existing stages of gugak performance halls are in the form of prosinium. The reason is that it is generally the most commonly used form in concert halls, and it can be assumed that it was influenced by the form of Western concert halls. Second, based on the two-dimensional shape in which chairs are arranged, the most common types of seats in the gugak performance halls are horseshoe-shaped and shoebox-shaped. The reason why these appear most frequently is because, firstly, they are the most commonly used forms among performance halls, and secondly, it is presumed that they are the most effective forms when conveying the voice of the performer or considering acoustic characteristics. Third, unlike the Western stage, the contact and distance between the performer and the audience is very important for audience participation in gugak performance. In most types,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er and the player is dynamically and three-dimensionally combined, rather than distinguishing between them. Fourth, the size of the stage and audience, the two-dimensional viewing angle, and the viewing distance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perform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type of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hall or to suggest a performance hall that can be used variably. Fifth, considering the tendency of the latest performances, such many performances as instrumental music and pansori have been performed in small-scale performance halls. It can be inferred why the recently opened gugak concert halls such as Pungnyu Sarangbang and Donhawmun Gugakdang Hall are in small-scale. Sixth, there are three types of outdoor gugak performance halls: a circular shape like the Moonlight Yard of the Namdo Gugak Center, a long rectangular shape like the Starlight Yard of the Namdo Gugak Center, and a semicircular shape like the outdoor yard of the Busan Gugak Center.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민경(Jung Minkyeong). (2023).국악공연장의 공연공간적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 215-248

MLA

정민경(Jung Minkyeong). "국악공연장의 공연공간적 특성과 실태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3): 215-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