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전쟁기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의 상황과 김동민 가(家)의 관계 연구

이용수 12

영문명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Dongmin's Family an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uring the Korean War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율희(Kim Yulhee)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8집, 9~3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쟁기 피란수도 부산에서 개원한 국립국악원 태동기의 역사적 상황을 구술자료를 통해 밝힌 논문이 다. 이 시기는 전쟁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사료가 부족하여 학계에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피난 직후 약 3개월간 구왕궁아악부의 임시사무실을 제공한 김동민에 대한 과거 구술자료를 분석하여, 국립국악 원의 태동기에 영향을 미친 김동민 가(家)와의 관계를 정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초 사료가 되는 김동민의 구술음원 은 1991년 강태홍 유적조사를 위해 민속국악학자 이보형이 녹음한 것이다. 이 자료는 국립국악원 태동기와 김동민의 인 연이 자세히 녹음되어 있다. 이를 바탕으로 김천흥의 저서, 국립국악원 개원 50 및 70주년 자료집, 신문기사 등을 종합 하여 당시 상황을 정리하고, 김동민의 장녀 김온경과 구술면담을 실시하여 사실을 교차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국악원은 피난 직후 1950년 12월 말부터 1951년 4월 정식 개원까지 부산시 서구 토성동 3가 6번지 김동민 자택에 임시사무실을 제공받았다. 둘째, 국립국악원 개원 이후 첫 무용강습회를 김동민 의 민속무용연구소에서 개최하였다. 셋째, 부산 최초의 무용극인 <춘향전>이 공연된 1952년 ‘제1회 민속무용발표회’의 해설과 반주를 성경린, 김천흥 등 국립국악원 악사들이 담당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국립국악원의 태동에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한 것으로, 국악애호가이자 국악계몽운동을 선동한 김동민의 열정과 후원으로 인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국립국악원과 김동민의 관계는 단순한 후원관계를 넘어 동반자적 조력관계를 유지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지금 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 상황을 새롭게 정립하고, 그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which opened in Busan, the temporary capital during the Korean War. Due to a lack of historical records in this period, it analyzes the oral records about Kim Dongmin, who provided a temporary office for Guwanggung aakbu (舊王宮雅樂部) for about three months right after evacuation, to establish the influence of the Kim Dongmin's family that affected the birth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oral materials of Kim Dongmin and Son Jaesook, which serve as the basic material for this study, were recorded by the folk music scholar Lee Bohyeong in 1991. They show in detail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Dongmin and the early day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Based on them, this study summarizes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by reviewing Kim Cheonheung's book, the National Gugak Center's 50th and 70th anniversary collections, and newspaper articles. Then, an oral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Kim Dongmin's eldest daughter, Kim Ongyeong, to cross-verify the fa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ational Gugak Center was provided with a temporary office at Kim Dongmin's house at 6 Toseong-dong 3ga, Seo-gu, Busan, from the end of December 1950 until its official opening in April 1951. Second,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first dance class for beginners was held by Kim Dongmin's Folk Dance Research Institute. Third, in 1952, when Busan's first dance play, Chunhyangjeon, was performed on 'the 1st Folk Dance Presentation', the musicians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ncluding Sung Kyungrin and Kim Chunheung, were in charge of the commentary and accompaniment. This fac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birth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and can be seen to be due to the passion and support of Kim Dongmin, a lov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stigator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enlightenment movement. In summary, Kim Dongmin greatly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in Busan by providing a place for dance lessons and holding collaborative performanc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newly established the situation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which has not been well known so far, and shed new light on its historical significan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율희(Kim Yulhee). (2023).한국전쟁기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의 상황과 김동민 가(家)의 관계 연구. 국악원논문집, (), 9-36

MLA

김율희(Kim Yulhee). "한국전쟁기 국립국악원 개원 전후의 상황과 김동민 가(家)의 관계 연구." 국악원논문집, (2023): 9-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