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악학궤범 속악의 초성 검토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Choseong of Sogak in Akhakgwebeom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숙희(Yi Sukhui)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8집, 103~13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악학궤범의 속악 이론을 올바르게 정립하는데 목적을 두고 악학궤범의 거문고와 대금 산형을 중심 으로 악학궤범의 속악의 초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속악의 초성은 오음약보의 정성이 무엇이냐에 따라 결정된다 고 보았다. 오음약보의 정성은 궁(오음약보)으로 되어있는 세조실록형과 하5로 되어있는 악학궤범형의 두 종 류로 나타났다. 거문고 산형에서는 일지, 이지, 사지, 칠지 모두 오음약보의 정성은 궁(오음약보)으로 나타났다. 다만 거문고 산 형에서 일지와 이지 산형에는 하3이 최저음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하5가 오음약보의 정성이 될 수 없는 구조였다. 거문고 허현의 조현음도 오음약보 정성을 결정하는 주요한 기준인데, 낙시조에는 궁(오음약보), 우조에는 하5로 되 어 있어, 서로 일치하지 않았다. 거문고 산형의 속악 칠지와 오음약보의 정성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할 때, 속악의 초성은 협종(夾)으로 나타났다. 􋺷악학궤범􋺸의 대금 산형에는 속악 칠지가 모두 제시되어 있지만, 속악 칠지에 적용된 오음약보의 체계가 통일 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고, 육지와 칠지는 오음약보의 정성이 궁(오음약보)일 경우 악조 성립에 필요한 음역이 확 보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같은 문제로 인하여 육지와 칠지에 적용된 오음약보의 정성도 하5여야 한다고 보 았다. 따라서 대금 산형의 오음약보의 정성은 하5이며, 오음약보의 정성 하5를 기준으로 했을 때, 속악의 초성은 황종(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오음약보의 정성이 궁(오음약보)과 하5의 두 가지 형태가 있었고, 악기에 따라 속악 칠지에 오음 약보의 정성이 다르게 적용된 까닭에 속악의 초성도 협종(夾)과 황종(黃)의 두 종류로 나타났다. 악학궤범에서 속악의 초성은 협종이라고 한 것, 오음약보의 정성은 하5라고 한 것, 오음약보의 정성은 허현 의 조현음과 일치한다고 한 것이 맞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는 것은 악학궤범 속악 이론 체계 의 문제점으로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choseong (lit. the first note; used as the lowest note) of sogak , which refers to hyangak (indigenous Korean court music), recorded in Akhakgwebeom (a book on music compiling royal protocols and music scores in Joseon Dynasty) focusing on sanhyeong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the relation of pitch and where to play) of the two instruments, geomungo and daegeum. It aims to correctly establish the theory of sogak in Akhakgwebeom. The proposition of “the choseong of sogak is hyeopjong ” in Akhakgwaebeom is based on the Chinese sogak theory and it refers to the lowest sound in sogak chilji (seven keys of sogak ). It is believed that choseong of sogak is determined by jeongseong (正聲), a tone that indicates the first note in a melodic mode, in the notation system oeumyakbo . The jeongseong of oeumyakbo was divided into two types: the sejosillok type expressed in gung (as in oeumyakbo ) and the akhakgwaebeom type expressed in ha 5. In the geomungo sanhyeong , the jeongseong of all ilji (hyeopjong, goseon) , iji (jungnyeo, yubin) , saji (ichik, namnyeo) , and chilji (daeryeo, taeju) was expressed as gung . Since ha 3 was the lowest note in the sanhyeong of ilji and iji , however, ha 5 could not be the jeongseong of the oeumyakbo . The tuning of geomungo heohyeon (sound of playing open strings) is also a major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jeongseong of oeumyakbo , but since in the melodic mode naksijo and ujo it is set in gung and ha 5, respectively, they did not match each other.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gak chilji of geomungo sanhyeong and the jeongseong , the choseong of sogak appeared to be hyeopjong (夾). In the daegeum sanhyeong of Akhakgwebeom, all sogak chilji are presented, b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oeumyakbo system applied to sogak chilji is inconsistent. Furthermore, in the case of yukji (hwangjong ) and chilji , when the jeongseong of oeumyakbo is gung,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range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a melodic mode could not be secured. Due to these problems, it is thought that the jeongseong of oeumyakbo applied to yukji and chilji should be ha 5. Therefore, the jeongseong in the daegeum sanhyeong is ha 5, and thus, the choseong of sogak appeared to be hwangjong (黃) based on the jeongseong of oeumyakbo , or ha 5. As mentioned above, the jeongseong of oeumyakbo was divided into two forms: gung and ha 5. Because the jeongseong of oeumyakbo was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musical instrument, the choseong of sogak appeared in two types, hyeopjong and hwangjong . This phenomenon is not only a problem with the sogak chilji and the oeumyakbo system itself, but also a problem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nge of each instru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gak chilji and the oeumyakbo are not properly establish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숙희(Yi Sukhui). (2023).악학궤범 속악의 초성 검토. 국악원논문집, (), 103-135

MLA

이숙희(Yi Sukhui). "악학궤범 속악의 초성 검토." 국악원논문집, (2023): 103-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