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중 편종과 편경 연구 현황 및 전망

이용수 35

영문명
Current Status and Prospects of the Research on Pyeonjong and Pyeongyeong in South Korea and China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유영 학영광 양춘미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48집, 73~10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동아시아의 예악 문화는 하나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주나라 때에 이르러 규범화된 예악제도가 이미 형 성되었다. 예악 전통에서의 '금석지악(金石之樂)'은 연주하는 악기가 편종(금류 악기)과 편경(석류 악기)이 중심을 이룬 다. 편종에 대한 중국 최초의 연구는 1958년 최옥당의 글 「금편종」을 시작으로 율제(律制), 음성학적 특성, 명문, 재질, 복제 등에 관한 일련의 연구 성과가 발표되었다. 편종보다 늦게 시작된 편경의 연구는 호북성박물관(湖北省博物馆)이 1972년에 발표한 「호북 강릉에서 발견된 초나라 채회(彩繪) 석편경과 관련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그 후의 연구는 주로 명문, 음률, 재질, 복제, 음성학적 특성 등 측면에 집중되었다. 한국에서 이 분야를 전문적으로 연구한 사람은 장사훈이 처음이며, 이후 편종과 편경의 제작, 재료, 음률, 음성학적 특성, 명문과 복원 등의 연구가 집중되었다. 양국의 편종, 편 경 학술사는 연구 대상과 문제 의식 면에서 공통점이 있지만, 연구 중점, 연구의 중시 정도, 연구 범위, 연구 관심사 등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색을 가지고 있다. 편종과 편경은 유가 예악문화의 대표적인 악기로서 학술 연구 분야뿐만 아니라 현재의 음악 실천에도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발굴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한다.

영문 초록

Confucian ritual music culture in East Asia can be traced back to Xia Dynasty and developed into a standardized ritual music system in the Zhou Dynasty. The 'JIn Shi Zhi Yue (Music of metal and stone)' in the Confucian ritual music tradition is mainly composed of pyeonjong (a set of bells; bianzhong in Chinese) and pyeon'gyeong (a set of L-shaped stone chimes; bianqing in Chinese). The earliest research on pyeonjong in China was the article 'Golden Chime Bells' published by Cui Yutang in 1958. After that, a series of researches examining rhythmic systems, acoustic characteristics, inscriptions, materials and rehabilitation of pyeonjong were published. However, the study of pyeongyeong was relatively late compared to that of pyeonjong. The earliest study about pyeongyeong was published in 1972; it was the article 'The Painted Stone Chimes of Chu State Discovered in Jiangling, Hubei Province and Related Issues' by the Hubei Provincial Museum. The subsequent researches of pyeongyeong mainly focused on inscriptions, rhythmic systems, materials, reproduc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In South Korea, Jang Sahun was the first scholar who conducted the research specialized in this field. The subsequent researches in South Korea mainly focused on the production, materials, rhythmic systems, acoustic characteristics, inscriptions, and restoration of pyeongyeong and pyeonjong. Although the academic histories of pyeongyeong and pyeonjong in both countries have some similarities in research objects and problem awareness, they also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focus, emphasis, scope, and interest of the research. As the representative musical instruments of Confucian ritual music culture, pyeongyeong and pyeonjong need to explore their multiple possibilities not only in the field of academic research, but also in current musical practic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영,학영광,양춘미. (2023).한·중 편종과 편경 연구 현황 및 전망. 국악원논문집, (), 73-101

MLA

유영,학영광,양춘미. "한·중 편종과 편경 연구 현황 및 전망." 국악원논문집, (2023): 73-1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