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상황기반 척도를 활용한 학교장애인식지수 개발

이용수 13

영문명
Developing a School Disability Awareness Index Using Situation-based Scal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김수연 이대식 이은주 김자영 지은숙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8권 제2호, 149~175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9.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부터 고등학생까지 장애인식 수준을 일관되게 측정하고 표준화 점수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상황기반 장애인식 측정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장애인식을 측정한 후 지수화를 시도하였다. 우선, 20명의 통합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와 내용 타당도 검증 및 예비조사, 본조사 과정을 거쳐 ‘상황기반 장애인식 척도’를 개발하였다. ‘상황기반 장애인식 척도’는 초등학생용, 중・고등학생용, 교사용 3종으로 개발되었는데, 학생용의 경우, 관점, 지식, 실천, 정서 4가지의 구인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사의 경우 정서를 제외한 나머지 3가지 구인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초등학생 1,169명, 중학생 687명, 고등학생 734명, 교사 329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여 수집한 데이터로 ‘학교장애인식지수’를 도출하였다. 세 집단의 평균 장애인식지수는 100점 만점 중 59.86점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생이 중・고등학생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장애인식지수가 높았으며, 성별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장애인식지수가 높았다. 반면 교사의 경우, 성별을 포함한 배경변인에 따른 장애인식지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구인 간 비교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실천 영역의 지수가 가장 높았고, 지식 영역의 지수가 가장 낮았다. 학교장애인식지수의 개발은, 학교마다 현재 장애인식 수준을 평가하고 가장 취약한 지점을 밝혀내어 실효성 있는 장애인식개선 교육과 정책 마련에 기여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developed a situation-based disability awareness measurement tool to consistently measure the level of disability awareness from elementary to high school students and convert it into a standardized score, and then used it to measure and index disability awareness. To do it, the ‘Situation-based Disability Awareness Scale’ was developed through two Delphi surveys of 20 inclusive education experts, content validation, preliminary survey, and main survey. The scale was develop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For students, the scale consists of four constructs: perspective, knowledge, practice, and emotion, and for teachers, the remaining three items except emotion. Then, the ‘School Disability Awareness Index’ was derived from the data collected by applying it to 1169 elementary school students, 687 middle school students, 734 high school students, and 329 teachers. The average disability index score of the three groups was 59.86 out of 100. By school leve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by gender,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For teacher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cluding gender. When comparing across variables,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d the highest score in the Practices construct and the lowest score in the Knowledge construct. The development of a school disability awareness index can contribute to effective education for disabilitiy awareness and policy development by assessing the current level of disability awareness in each school and identifying the weakest part.

목차

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수연,이대식,이은주,김자영,지은숙. (2023).상황기반 척도를 활용한 학교장애인식지수 개발. 특수교육학연구, 58 (2), 149-175

MLA

김수연,이대식,이은주,김자영,지은숙. "상황기반 척도를 활용한 학교장애인식지수 개발." 특수교육학연구, 58.2(2023): 149-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