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립대학교 부설 직업 분야 특수목적 특수학교의 조직체계 탐구

이용수 7

영문명
Special-Purpose Special School Affiliated with a National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복헌수 임경원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2호, 143~174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 및 특수교육 전문가와의 포커스 그룹 토의(FGD)를 통하여 국립대학교 부설 직업 분야 특수목적 특수학교의 조직체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서술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교무-행정 조직 초기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FGD를 실시하였다. FGD에는 중등 특수교사 6명, 특수교육 전문직 1명, 특수교육 교수 1명 등 총 8명이 참여하였다. FGD 결과, ‘노력은 하지만 지금 체계로는 한계가’, ‘전환교육지원팀: 제대로 평가해서 제대로 가르치고 성공적으로 전환시키자’, ‘연구협력지원팀: 교육연구와 교생실습 두 마리 토끼를 잡는 조직’, ‘새 술은 새 부대에: 새로운 학교의 거버넌스 구축과 민주적 의사결정’의 4개 상위범주와 13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부설 특수학교의 교무-행정 조직체계를 4개 팀 13개 부서로 제안하였다. 전환교육지원팀은 개인중심전환교육부, 산학협력취업지원부, 진로상담부, 3개의 전공(교과)부로 구성하였으며, 연구협력지원팀은 교육연구부, 대학연계실습지원부, 교육정보부로 구성하였다. 학생·교무지원팀은 교무지원부, 학생생활자치부, 방과후교육부, 기숙사부로 구성하였으며, 교육행정팀은 기존의 행정실 업무를 유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국립대 부설 직업 분야 특수목적 특수학교에 적합한 조직체계 모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organizational system of a vocational Special-Purpose Special School affiliated with a national university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discussion (FGD) with special education experts. An initial model of the academic affairs-administrative organiz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FGD was conducted based on this model. A total of 8 experts participated in the FGD: 6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1 special educational supervisor, and 1 special education professor. The results of the FGD, 4 super-categories and 13 sub-categories were derived and described as th following: “Making an effort, but the current system has limitations”, “Transition education support team: Let's evaluate properly, teach properly, and successfully do transition”, “Research cooperation support team: Educational research and student practice”, and “New wine for a new unit: Building a new school governance and democratic decision-mak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discussion, the academic affairs-administrative organizational system of the affiliated special school was proposed with 4 teams and 13 departments. The Transition Education Support Team consisted of the Individual-Centered Transition Education Dept.,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Employment Support Dept., Career Counseling Dept., and three Major(Subject) Depts.. The Research Cooperation Support Team consisted of the Education and Research Dept., University-Linked Practice Support Dept., and Education and Information Dept.. The Student and Academic Affairs Support Team consisted of the Academic Affairs Support Dept., Student Government Dept., After-School Education Dept., and Dormitory Dept..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Team maintained the current administrative office work.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we suggested an organizational system model suitable for a vocational Special-Purpose Special School affiliated with a national univers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서술적 문헌고찰에 따른 학교 조직체계 초기모형 구안
Ⅳ. 포커스 그룹 토의를 통한 학교조직체계 최종 모형 도출
Ⅳ.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복헌수,임경원. (2021).국립대학교 부설 직업 분야 특수목적 특수학교의 조직체계 탐구. 특수교육학연구, 56 (2), 143-174

MLA

복헌수,임경원. "국립대학교 부설 직업 분야 특수목적 특수학교의 조직체계 탐구." 특수교육학연구, 56.2(2021): 143-1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