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 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이용수 12

영문명
Literature Review of Domestic Experimental Research on Interventions for Family Empowerment in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교육학회
저자명
최미진 위한영 박지연
간행물 정보
『특수교육학연구』제56권 제2호, 89~11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09.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 관련 국내 실험연구 분석을 통해 향후 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지원의 실제와 연구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 논문 선정 기준에 따라 2000년∼2020년 사이에 발표된 연구 총 16편을 선정하여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였고, 미국 특수아동협회(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2014)의 실험연구 질적 지표에 따라 각 연구의 질적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 측면에서는 부모가 함께 참여하거나 어머니가 참여한 연구가 가장 많았고, 장애를 가진 가족구성원의 연령과 장애유형면에서는 고등학령기 및 지적장애와 자폐성장애가 가장 많았다. 장애 구성원이 함께 참여한 연구와 그렇지 않은 연구의 수는 동일하였다. 둘째, 독립변인은 부모교육이 가장 많았고 그중에서도 전환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셋째, 중재 환경은 학교가, 중재 회기는 11∼15회기가, 회기당 시간은 1∼2시간인 연구가 가장 많았다. 넷째, 사전사후 통제집단 실험설계를 적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 2편을 제외한 모든 연구에서 중재 후 가족역량강화의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으나 추후검사를 실시한 연구는 2편뿐이었다. 마지막으로 질적 지표에 따른 분석 결과, 5편의 연구가 질적 지표의 80% 이상을 충족하였다. 질적 지표 전체 평균은 ‘연구 참여자’ 영역에서 가장 높은 질적 수준을 보였고, ‘중재자’ 영역에서 가장 낮은 질적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의 실천과 연구의 방향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xperimental studies conducted in Korea on interventions for family empowerment in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 total of 16 articles published from 2000 to 2020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and analyzed in term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study. In addition, we analyzed the articles based on CEC quality indica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studies involved both parents or mothers as participants. The most frequent disability types and age ranges of the participants’ children were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high school age, respectively. The number of studies where famil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intervention with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equal to the number of studies in which only adults participated. Second, in terms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parent education was the most common, and transition-related contents accounted for most of them. Third, most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at schools for 11∼15 sessions, with 1∼2 hours per session. Fourth, most studies used pre-post control group experimental design. Fifth, all but two studie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family empowerment, but a follow-up was conducted only in two studies. Finally, the CEC quality indicators analysis showed that no studies met all indicators. However, five studies met more than 80 percent of indicators. In terms of the means of each indicator, the highest score was found in the “participants” domain, and the lowest was found in the “intervention agent” domain.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interventions for family empowerment in famil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미진,위한영,박지연. (2021).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 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56 (2), 89-112

MLA

최미진,위한영,박지연. "장애아동 및 청소년 가족역량강화를 위한 중재 관련 국내 실험연구 고찰." 특수교육학연구, 56.2(2021): 89-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