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옹고집전〉 속 ‘아내’의 서사적 배제에 대한 향유층의 의식 - 김삼불본〈옹고집전〉과〈쥐 둔갑 설화〉를 중심으로 -
이용수 31
- 영문명
- A voice that protects the "wife" who has been erased beyond alienation.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남기민(Nam, Ki min)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56집, 247~27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김삼불 교주본 '옹고집전'을 대상으로 그간 주목받지 않았던
인물인 ‘옹고집 아내’에 초점을 맞추어 서사를 읽어 내려간다. '옹고집전'의
주인공 옹고집은 놀부와 함께 판소리 서사의 대표적인 악인형 인물이다. 서사
속에서 옹고집은 불효를 저지르고 이웃에게도 박정하다. 그러한 성정으로 인해
결국 도승의 징치를 받게 되고 집에서 쫓겨나와 고초를 겪지만 이내 집으로
돌아와 가부장의 지위를 되찾는다.
문제는 이 사건으로 인해 치죄를 당하는 것이 옹고집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옹고집의 아내는 돌아온 진짜 옹고집에게 가짜 옹고집과 육체적・정서적 관계
를 맺고 그의 아이까지 낳은 부정한 여자라는 비난을 받고, 애지중지 낳고 기른
아이들은 한순간에 지푸라기로 변해버린다. 아내는 자신이 초래하지 않은 상황
임에도 비난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그 상황에서 아무런 항변도 하지 못한다.
옹고집의 아내는 당대 사회의 가부장적 인식 속에서 당연히 항변할 수 있는
상황에서 목소리를 소거당하고 만 인물이라 할 수 있다.
김삼불본 '옹고집전'과 유사한 서사가 옹고집전의 근원설화의 하나로 알려
진 <쥐 둔갑 설화>에도 나타난다. '쥐 둔갑 설화'에서도 아내에게 ‘쥐 좆도
모른다’는 비난과 조롱이 가해지는 모습이 보인다. 그러나 아내를 비난하는
말을 소거하거나, 아내가 돌아온 남편과 행복하게 잘 산다는 결말을 보여주거나,
아내를 변호하는 구연자의 말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각편들에서 아내를 두둔하
거나 비난의 시선에서 멀어지게 하는 방식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된다. 이를
통해 당대 향유층이 서사에서 드러나는 부조리함을 인식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김삼불본 '옹고집전'의 향유층 역시 죄 없는 아내에게 책임을 묻고,
치죄하는 서사를 부조리한 것으로 인식했기 때문에 이를 재생산하지 않고 다른
화소들로 대체하였던 것이다. 이를 통해 공정과 올바름을 인식하는 당대 향유층
의 명료한 의식을 확인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focuses on 'Onggojipjeon' in which Kim Sam-bul corrects wrong
letters or wrong sentences and annotates them, and focuses on ‘Onggojip Wife’,
which has not received attention so far.
‘Onggojip’ the main character of 'Onggojipjeon' is a representative villain
in the pansori narrative along with Nolbu. In the story, Onggojip is a undutyful
son. He treats his neighbors badly, too. So eventually, he is punished by a monk.
He is driven out of the house and suffers. However, he soon returns home and
regains his patriarchal status.
The problem is that Onggojip is not the only one being punished for this
incident. Onggojip accuses his wife of committing an affair and children turn
into straw. The wife was criticized even though she did not cause it. And there
is no defense in that situation. At that time, Onggojip's wife could not resist
and speak out in the patriarchal perception of society.
A narrative similar to Kim Sam-bul’s version of 'Onggojipjeon' appears in
the 'The Rat Transformation Story,' known as one of the sources of
'Onggojipjeon.' In 'The Rat Transformation Story' his wife is also accused and
mocked as 'not even knowing the rat’s genitals,' but in each story, the words
criticizing the wife are deleted; the husband and wife return to a happy ending;
or a speaker appears who advocates for the wife. Thus, the various versions implement a variety of ways of defending and not criticizing the wife. Through
this,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njoyment class of the time was aware of
the absurdity revealed in the narrative. The enjoyment class of Kim Sam-bul
version of 'Onggojipjeon' also shows a clear consciousness of the enjoyment
class of the time that recognizes fairness and correctness by replacing the narrative
that holds innocent wives responsible and persecuted with other pixels without
actively reproducing i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성격과 전승정책 방향
-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 판소리연구 제56집 목차
- 권삼득 명창의 등장과 판소리사적 의미
- 〈옹고집전〉 속 ‘아내’의 서사적 배제에 대한 향유층의 의식 - 김삼불본〈옹고집전〉과〈쥐 둔갑 설화〉를 중심으로 -
- 일제의 판소리 권력화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 판소리 무형문화재 지정이 판소리 및 판소리 관련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고찰
- 이야기세계와 실제세계의 관계로 본 춘향전의 ‘성이성 모델설’
- 성이성의 현대적 스토리텔링 연구
- UNESCO 2003 협약 이후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변화와 판소리 전승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