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성격과 전승정책 방향

이용수 26

영문명
Distinctive Features of Pansori: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Transmission Policy
발행기관
판소리학회
저자명
임승범
간행물 정보
『판소리연구』제56집, 65~9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10.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64년 중요무형문화재 제도의 시작과 더불어 판소리가 중요무형문화재 제5호로 지정되었고, 2003년에는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되었다. 이처럼 판소리는 우리나라 무형문화재 제도의 역사와 그 궤를 같이 하였으며, 우리나라 대표적인 무형유산이자 인류무형유산으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국내적으로는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고, 국제적으로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Inscription) 되었다. 지정은 정부가 주도하는 보존 및 관리의 목적이 크고, 등재는 보호(Safeguarding)와 공동체의 참여를 보다 중시하는 개념이다. 국가무형문화재는 최고의 기량을 바탕으로 보유자(또는 보유단체) 중심의 인적 전승을 전제로 한다. 반면, 인류무형유산은 해당 유산의 공동체 전승과 창조적 계승에 주목하며, 관련 전승 공동체(커뮤니티)의 존재 여부를 중시한다. 판소리는 이 두 제도의 지정 요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다. 판소리가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될 수 있었던 배경에는 전승주체라고 할 수 있는 명창들의 공헌이 절대적이지만, 앞으로는 이를 향유하는 기반 집단의 육성정책이 수반되어야 등재의 취지를 높일 수 있다. 본문에서는 인류무형유산으로서의 판소리 전승활성화 정책의 주안점으로 다음의 사항을 제안하였다. 첫째, 인류무형유산으로서의 판소리 전승의 다변화 정책이 필요하다. 국가무형문화재로서의 판소리는 보유자 인정을 전제로 전수교육 등 전승에 필요한 사항을 지원받는다. 그러나 이와 별도로 다양한 전승주체들의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정책지원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 다양한 지원체계가 인류무형유산의 협약 정신에 보다 더 부합된다. 둘째, 인류무형유산 활성화를 염두하여 국가무형문화재의 전수교육 주체를 확대해야 한다. 전수교육의 권한이 보유자 개인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하고 전승교육사나 이수자, 명예보유자 등에게도 활발한 전승 통로를 열어주어서 많은 사람들이 이수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 전제로 명예보유자에게는 명실상부한 경제적, 사회적 예우를 통해 명예로운 은퇴의 기회를 주고, 젊은 보유자 양성에 노력을 기울어야 한다. 셋째, 판소리 향유권 확대를 위해서 ‘귀명창 육성 프로젝트’를 본격적으로 기획하고 행정적 지원을 도입해야 한다. 귀명창이 많아질수록 명창의 실력은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이를 위해서 제도권 학교 교육을 확대하고, 판소리의 전용극장과 이를 통한 상설공연이 활성화 될 필요가 있다. 관객들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수준 높은’ 판소리를 듣고 싶어 하는 이들이 늘어날 것이다.

영문 초록

In 1964, the inception of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ystem led to the designation of Pansori as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No5. Since then, Pansori has embodied Kore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arning its status as both a national and global intangible heritage. It was “designated”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inscribed”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e “designation”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means that the government takes charge of preservation and management while “inscribing” emphasizes safeguarding and community participation.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enters on personal transmission centered on the holder (or holding group) emphasizing superior skills. On the other hand, an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prioritizes community transmission and creative succession of the heritage. It highlights the existence of related transmission communities. Pansori satisfies the designation requirements of both systems. The contribution of master singers, who can be said to be the subjects of transmission, is crucial in establishing Pansori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This paper outlines key policy recommendations aimed at fostering the continued transmission of Pansori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First,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transmission of Pansori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Pansori receives support for transmission, such as transmission education, on the condition that the holder is recognized. However, apart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olicy support base to support various transmission agents’ activities. There are various support systems that align with the spirit of the Convention on the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Second, with the revitalization of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mind, there is a need to broaden the transmission education of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authority over transmission education is not concentrated in the individual holder. Instead, a pathway for active transmission should be accessible to trainers, trainees, and honorary holders, enabling a wider audience to undergo completion examinations. To begin, honorable hold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for honorable retirement through genuine economic and social provisions. Additionally, endeavors should be directed towards the development of young holders. Third, to promote the appreciation of Pansori, the “Gwimyeongchang (Pansori enthusiast) Fostering Project” should be planned in earnest and accompanied by administrative support. Increasing the number of enthusiasts will elevate the skill level of master singers. This requires an expansion of institutional education programs and the activation of dedicated pansori theaters for regular performances. With a more discerning audience, there will be a growing demand for elevated forms of Pansori.

목차

1. 머리말
2. 무형문화재 지정·인정, 인류무형유산 등재 개념과 판소리
3.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조사지표와 인류무형유산 등재지표
4. 구전전통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서 판소리의 성격
5. 맺음말 : 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전승 정책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승범. (2023).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성격과 전승정책 방향. 판소리연구, (), 65-95

MLA

임승범. "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성격과 전승정책 방향." 판소리연구, (2023): 65-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