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권삼득 명창의 등장과 판소리사적 의미
이용수 39
- 영문명
- The emergence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in the 18th century and hi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pansori
- 발행기관
- 판소리학회
- 저자명
- 최혜진
- 간행물 정보
- 『판소리연구』제56집, 325~35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18세기는 판소리 명창이 탄생한 시대이다. 권삼득은 최선달의 뒤를 이른 양반 광대로 일찍부터 주목받아 왔다. 권삼득에 앞서 최선달과 하한담은 판소리 광대의 정체성을 가장 일찍 수립한 인물들이다. 그간 우리는 이들을 전설적인 인물로 생각했지만, 최선달의 실존과 생몰이 밝혀짐으로써 초기 판소리사의 윤곽을 그려낼 수 있게 되었다. 본 논의는 권삼득 명창 등장의 맥락을 살펴, 그가 18세기 말 판소리사에 큰 영향을 끼쳤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권삼득 명창의 등장으로 이루어진 판소리사적 의미를 크게 세 가지 정도로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권삼득의 판소리는 전 시대와 달리 호기있고 씩씩한 창법을 구사하며, 사설의 극적 내용을 음악적으로 보완하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가 남긴 설렁제 창법과 제비가 더늠, 중모리가 특장이라는 기록 등은 판소리의 음악적 발전이 어떤 식으로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두 번째는 권삼득의 판소리는 익산의 송첨지 일가, 염계달, 김성옥, 모흥갑 등 후배 명창들에게 영향을 끼치면서 중고제의 법제화, 동편제의 등장을 이루는 데 기여했을 것이라는 점을 밝혔다. 세 번째는 권삼득은 최예운을 잇는 비가비 광대로 후대에 많은 비가비 광대들이 활약하고 태어나는 데 영향을 끼쳤으며, 판소리의 이론과 실기면에서 발전을 이루는데 역할을 했음을 밝혔다. 권삼득의 후배로 활약한 양반 광대 정춘풍은 고창의 신재효에 버금가는 인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
권삼득은 초기 판소리에서 유파의 생성이 이루어지던 시점에 활약한 명창으로 유적과 가계, 관련기록과 설화 등이 많이 남아 있는, 보기 드문 명창이라 할 수 있다. 향후 초기 판소리사를 해명하는데 권삼득 시대의 문화적 맥락이 더욱 규명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18th century was the era in which the greatest pansori singers were born. Choi Seondal and Ha Handam were the first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 pansori clown. Until now, we have thought of them as legendary figures, but as the existence and birth and death of Choi Seondal have been revealed, it has become possible to establish early pansori history. This discussion examines the context of the emergence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in order to reveal his great influence on the history of pansori in the late 18th century.
We examined three major meanings in the history of pansori with the emergence of master singer Kwon Sam-deuk. First, unlike the style of previous periods, Kwon Sam-deuk’s pansori uses an energetic and spirited singing style and sought to musically complement the dramatic content of the lyrics. The recordings of his Seolleongje singing method, Jebi-Ga, and Jungmori as special features that he left behind reveal the musical development of pansori. Second, Kwon Sam-deuk’s pansori influenced younger master singers such as Song Cheom-ji’s family in Iksan, Yeom Gye-dal, Kim Seong-ok, and Mo Heung-gap,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Joonggoje system and the emergence of the Dongpyeonje system. Third, Kwon Sam-deuk was a Bigabi clown who succeeded Choi Ye-un; he influenced the creation and performance of many Bigabi clowns in later generations and played a role in the development of both pansori theory and practice. Jeong Chun-pung, who played an active role as Kwon Sam-deuk’s junior, is known as a figure comparable to Gochang’s Shin Jae-hyo.
Kwon Sam-deuk was a master singer who was active at the time when the early Pansori school was being created. He can be said to be a rare master singer with many relics, genealogy, related records, and stories remaining. In the future, the cultural context of Kwon Sam-deuk's era needs to be further identified in order to explain the early history of Pansori.
목차
1. 머리말
2. 18세기 음악문화와 명창의 탄생
3. 권삼득 명창 관련 기록과 판소리사적 의미
4.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류무형유산 판소리의 성격과 전승정책 방향
- 판소리의 유네스코 <인류 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선언> 경위와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
- 판소리연구 제56집 목차
- 권삼득 명창의 등장과 판소리사적 의미
- 〈옹고집전〉 속 ‘아내’의 서사적 배제에 대한 향유층의 의식 - 김삼불본〈옹고집전〉과〈쥐 둔갑 설화〉를 중심으로 -
- 일제의 판소리 권력화 과정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
- 판소리 무형문화재 지정이 판소리 및 판소리 관련 공연예술에 미친 영향 고찰
- 이야기세계와 실제세계의 관계로 본 춘향전의 ‘성이성 모델설’
- 성이성의 현대적 스토리텔링 연구
- UNESCO 2003 협약 이후 한국 무형문화재 제도변화와 판소리 전승
-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판소리’ 종목 지원 사업의 현황과 과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새국어교육 141호 목차
- ChatGPT를 활용한 쓰기 채점 및 피드백 방안 - 프롬프트 전략을 중심으로
- 이주배경 다국적 초등학생의 수업 참여도 제고를 위한 소집단 활동 연구 - 입장 취하기와 역할 변화 양상을 중점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